대기업 65%,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미정… 취업문 ‘바늘구멍’

입력 2015-03-02 14: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전경련)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확정한 대기업은 10곳 중 4곳에도 미치지 못했다. 작년 수준 이상으로 뽑겠다는 기업은 2.4곳에 불과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종업원 수가 300명이 넘는 207개사를 대상으로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64.7%인 134개사가 아직도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2일 밝혔다.

나머지는 ‘작년만큼 뽑겠다’는 기업이 37개(17.9%)였고 ‘작년보다 덜 뽑겠다’는 곳은 14개사(6.8%), ‘한 명도 안 뽑겠다’는 곳은 10개사(4.8%)였다. ‘작년보다 더 뽑겠다’는 곳은 12개사(5.8%)에 불과했다.

(사진제공=전경련)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중복응답)는 국내외 업종경기 악화(26.4%), 회사 내부상황 악화(23.6%) 요인과 함께 정년연장에 따른 퇴직인원 감소로 정원 관리가 필요해서(23.6%), 또는 통상임금 등 인건비가 부담돼서(6.9%) 등이 꼽혔다.

기업들이 신규채용 규모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중복응답)으로 적정 정원관리(55.8%)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국내외 업종경기 상황(19.4%), 인건비 총액(15.3%), 정부시책 호응(5.8%) 순이었다.

특히 내년부터 60세 정년이 의무화되면 기업의 62.8%가 근로자들이 실제 60세까지 근무하려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퇴직인원이 생기지 않으면 기업규모가 크게 성장하지 않는 이상 신규채용 수요는 줄어들기 마련이다.

(사진제공=전경련)

현재 우리나라 직장인의 평균 퇴직연령은 53세인 상황에서 기업들의 12.6%는 지금보다 더 많은 명예퇴직금을 준다면 퇴직할 것 같다고 예상했고, 10.6%는 기존처럼 53세 즈음에 퇴직이 이뤄질 것 같다고 예상했다.

이들 기업의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인원 중 이공계 선발 비중은 평균 59.2%로 문과생들의 취업이 상대적으로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공계 선발 비중이 높은 업종은 건설·에너지(74.3%), 공기업(73.3%), 제조업(66.7%) 등이었다. 문과생을 더 많이 뽑겠다는 업종은 도소매업(77.5%), 운수업(66.7%) 뿐이었다.

여대생의 취업 문턱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신규채용 직원 중 여성 선발 비중은 평균 23.4%에 그쳤다. 그나마 여성 선발 비율이 높은 업종은 운수업(43.3%)과 정보서비스업(30.0%) 정도였다.

한편 내년부터 정년이 늘어나는 장년 근로자들에 대해 기존 업무나 직책을 유지하도록 할 것(53.1%)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전문분야에서 자문위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거나(21.3%) 후배들에게 보직을 넘기고 팀원으로 근무(10.6%), 또는 지원부서나 지점관리·마케팅 업무를 맡길 것(7.2%)이라는 응답이 이어졌다.

(사진제공=전경련)

전경련 이철행 고용노사팀장은 “국내외 경기부진, 통상임금 확대에 따른 인건비 상승, 60세 정년 의무화 등의 영향으로 대졸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문과출신 여성들의 대기업 취업이 매우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26,000
    • -2.49%
    • 이더리움
    • 4,930,000
    • -2.88%
    • 비트코인 캐시
    • 585,500
    • -4.17%
    • 리플
    • 725
    • +4.32%
    • 솔라나
    • 200,700
    • -3.74%
    • 에이다
    • 565
    • -3.91%
    • 이오스
    • 874
    • -6.1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650
    • -3.63%
    • 체인링크
    • 20,150
    • -5.71%
    • 샌드박스
    • 486
    • -10.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