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정교과서 논란 확산… 역사교과서 공방 2라운드

입력 2014-01-09 0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새누리 “국정교과서 전환”vs 민주 ‘반발’

교학사 역사교과서에 철회 논란에 정치권이 가세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새누리당이 역사 과목을 ‘국정교과서’ 체제로 바꾸자고 주장하자 민주당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우편향 역사교과서 시비로 촉발된 여야 공방이 ‘교과서 전쟁 2라운드’ 로 접어드는 형국이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8일 당 회의에서 “역사교과서가 오히려 국민적 갈등의 원인이 되고 불필요한 갈등을 생산한다면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국정교과서로 다시 돌아가는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라며 국정 전환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앞서 황우여 대표도 지난 7일 방송 인터뷰에서 “역사는 한 가지 교과서로 가르치는 게 국가적 임무가 아니겠나 하는 생각이 있다”면서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권 지도부가 국정교과서 환원을 주장하고 있고, 서남수 교육부 장관과 문용린 서울시교육감 등도 국정교과서 환원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상황이라 조만간 당론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 전환은 유신시대로 회귀하는 것에 불과하고 선진국 중 국정교과서를 쓰는 곳은 거의 없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교문위 야당 간사인 유기홍 민주당 의원은 “교학사 교과서로 촉발된 일련의 역사 왜곡을 ‘박근혜 대통령의 역사 쿠데타’로 규정한다”며 “현재 세계에서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쓰는 나라는 북한, 러시아, 중국, 베트남 같은 사회주의 국가와 말레이시아 정도”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교문위에서 역사교과서의 국정교과서 환원 주장 등에 대한 긴급현안질의를 요구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는 한국사 교과서 선정 결정을 변경하거나 변경을 검토한 20개 학교 중 일부에서 외부의 압력이 있었다고 결론내렸다. 그러나 야당과 시민·교원단체는 교육부의 특별조사 자체가 정치적 외압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역사 교과서 선정을 둘러싼 갈등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24일부터 발급
  • '빅테크 혼조'에 흔들린 비트코인, 변동성 확대…솔라나도 한때 7% 급락 [Bit코인]
  • "불금 진짜였네"…직장인 금요일엔 9분 일찍 퇴근한다 [데이터클립]
  • '범죄도시4' 개봉 2일째 100만 돌파…올해 최고 흥행속도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외국인이 준 초콜릿에 수상한 '구멍'…유튜버 "상상도 못 해"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0:2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04,000
    • -2.73%
    • 이더리움
    • 4,601,000
    • -1.41%
    • 비트코인 캐시
    • 702,500
    • -4.49%
    • 리플
    • 769
    • -2.29%
    • 솔라나
    • 215,700
    • -5.1%
    • 에이다
    • 694
    • -4.67%
    • 이오스
    • 1,283
    • +4.99%
    • 트론
    • 166
    • +1.84%
    • 스텔라루멘
    • 167
    • -1.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800
    • -3.57%
    • 체인링크
    • 21,240
    • -3.85%
    • 샌드박스
    • 678
    • -5.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