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에 질린 개미들 '하소연'…"지금 팔아야 하나요?"

입력 2016-02-12 16: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얼마나 더 떨어질까요?" "지금 팔아야 합니까?" "떨어지는 이유가 대체 무엇입니까?

바닥을 모르고 떨어지는 증시에 투자자들은 망연자실한 모습이다. 증권사 영업지점에는 겁에 질린 투자자들의 전화가 연신 걸려왔으며 온라인상에서도 투자자들은 하소연이 이어졌다.

12일 코스닥지수는 오전 한때 전일 대비 8.17% 급락한 594.75까지 밀리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급등락하는 경우 시장 충격을 막기 위해 주식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것을 말한다.

서킷브레이커 발동에 개인투자자들의 '공포심'이 극에 달하는 모습이었다. 이에 투자자들은 증권사 영업지점에 방문하거나 전화를 걸며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한 대형증권사 영업지점장은 "서킷브레이커 발동에 앞으로 어떻게 대응을 해야하는지 묻는 투자자들이 많았다"며 "일부 투자자들은 답답한 상황에 항의성 전화를 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증권사 영업직원도 "급락하는 증시에 하루 종일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심란했다"며 "증권사 직원들도 이런 상황인데 투자자들은 얼마나 불안할 지 바늘방석에 앉은 기분이다"고 말했다.

온라인 증권관련 커뮤니티에서도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나타냈다. 아이디 ㅅㅇ아빠는 "순식간에 계좌가 반토막이 났다. 주식시장이 미쳤다는 생각만든다"고 말했다.

아이디 VITA**은 "공포심의 절정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또 다시 찾아오는 것이 아닐까라는 걱정이 든다"고 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난하며 책임을 돌리기도 했다. 아이디 fi***은 "도대체 뭘 하는 정부인지 모르겠다. 대북정책이 흔들리니 한국 정세불안 느낀 외국인 투자자들이 줄줄이 나가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나타냈다.

향후 상황을 우려하는 투자자도 있었다. 아이디 NAV***은 "사드 배치로 중국이 경제보복을 가한다면 국내 증시는 더 망가질 것이다. 정부의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이디 khs5****도 "오늘보다 다음주 월요일이 더 걱정된다. 춘절연휴를 끝내고 중국시장이 월요일에 열흘만에 개장을 하면 그동안 글로벌폭락을 한꺼번에 반영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또 천만 노리는 ‘범죄도시4’,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살아남아야 한다…최강야구 시즌3, 월요일 야구 부활 [요즘, 이거]
  • 단독 두산그룹, 3년 전 팔았던 알짜회사 ‘모트롤’ 재인수 추진
  • 기후동행카드, 만족하세요? [그래픽뉴스]
  • 단독 저축은행 건전성 '빨간불'에 특급관리 나선 금융당국 [저축銀, 부실 도미노 공포①]
  • 野 소통 열어둔 尹, 이재명 언제 만나나
  • 또 한동훈 저격한 홍준표 “주군에게 대들다 폐세자되었을 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576,000
    • -1.26%
    • 이더리움
    • 4,502,000
    • -1.19%
    • 비트코인 캐시
    • 716,000
    • +2.14%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00,400
    • -1.09%
    • 에이다
    • 666
    • -0.75%
    • 이오스
    • 1,090
    • -0.91%
    • 트론
    • 161
    • -3.59%
    • 스텔라루멘
    • 163
    • +1.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000
    • +0.2%
    • 체인링크
    • 19,750
    • -0.25%
    • 샌드박스
    • 644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