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학교가 서울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에서 총 3개 사업의 주관대학으로 최종 선정돼 서울 RISE 센터와 협약을 맺는다고 1일 밝혔다.
서울 RISE 사업은 정부의 지자체 이양 사업으로, 대학이 직접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서울시가 재정을 지원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사업 1차 연도인 올해는 일반대 26개교와 전문대 9개교 등 총
서울시가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이하 라이즈)’ 사업수행 대학 35곳을 최종 선정했다.
서울시는 2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2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서울 라이즈(RISE) 사업을 수행할 35개 대학(일반대 26개교, 전문대 9개교)을 최종 의결했다고 밝혔다. 라이즈(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
서울시립대학교는 12일 자연과학관에서 교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서울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서울시 RISE)’ 공모 추진 관련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2025년 서울시 RISE 사업 공고 내용 및 기본계획을 소개하고 서울시립대의 공모 준비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시, ‘서울형 RISE’에 5년간 4225억 투자대학 경쟁력 강화부터 지역 상생까지 포함
서울시가 5년간 지역, 대학 동반 성장에 4225억 원을 투자한다. 시는 이를 통해 첨단 미래산업 인재를 육성하는 것은 물론 대학-지역 간 상생, 지역 교육 격차 해소 등에 나선다.
시는 2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
교육부가 올해 마이스터고를 시작으로 2025년 전면 도입하는 고교학점제를 위해 고교교육혁신과를 신설한다.
교육부는 이러한 내용의 교육부 직제 시행규칙을 오는 3월 1일자로 개정한다고 28일 밝혔다.
고교교육혁신과는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전담한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적성ㆍ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듣고 학점을 따 졸업하는 제도다.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