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Celltrion)은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허쥬마(Herzuma, 성분명: trastuzumab)’가 일본에서 75%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아이큐비아(IQVIA) 및 현지 시장데이터에 따르면 허쥬마는 올해 4월 일본에서 75%의 점유율을 기록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지난 2021년 2분기 처음으로 오리지널 제품의 점유율을 넘어선
셀트리온은 일본에서 판매 중인 항암제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와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가 현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아이큐비아 및 현지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허쥬마는 올해 4월 기준 일본에서 75%의 점유율로 1위를 달리고 있다. 2021년 2분기에 처음으로 오리지널 제품의 점유율을 넘어선
셀트리온제약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성분명 토실리주맙) 바이오시밀러 ‘앱토즈마’의 국내 판매를 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앱토즈마는 체내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터루킨(IL)-6 단백질을 억제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인터루킨 억제제다. 류마티스 관절염(RA), 전신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sJIA), 다관절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pJIA) 등에 대한 적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인플릭시맙의 피하주사(SC) 제형인 ‘램시마SC’가 지난해 말 기준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 22%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램시마SC 출시 4년 만에 달성한 것으로 점유율이 5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램시마SC는 2020년 유럽 시장에 출시된 후, 2021년 점유율
“셀트리온은 미국의 관세와 약가인하 정책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2026년 말까지 재고는 확보해둔 상태고, 유통 구조가 단순화되면 더 많은 기회가 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15일 오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제약 산업의 정책 변화를 대응하는 방안과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최근 글로벌 제약‧바
서정진(Seo Jung-jin) 셀트리온(Celltrion) 회장은 15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최근 미국 정부의 약가 및 관세 정책에 대한 영향과 관련, “오는 2026년까지 미국의 관세 및 약가인하 정책이 셀트리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올해 매출액 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그대로 유지된다”고 못박았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이 유럽 주요 5개국 중 마지막 남아 있던 스페인에서도 직판으로 전환하면서 주요국 모두에서 현지 법인 주도의 영업 체제를 구축했다.
셀트리온은 기존 스페인 유통 파트너사인 컨파마와 협의를 진행한 결과 이번 달부터 현지 법인 주도의 직판 체제로 전환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통해 셀트리온 스페인 법인은 현지에서 판매 중인 제품들 가운데 트룩
셀트리온이 중남미 지역에서 입찰 성과를 이어가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17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중남미 최대 의약품 시장인 브라질에서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의 공급 기간 연장에 성공했다.
셀트리온 브라질 법인은 허쥬마 출시 다음 해인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트라스투주맙 연방정부 입찰에서 5년 연속 낙찰을 이어왔다.
셀트리온(Celltrion)은 브라질에서 유방암, 위암 치료제 ‘허쥬마(Herzuma, 성분명: 트라스투주맙)’를 낙찰받아 공급기간을 내년 3월까지로 연장했다고 17일 밝혔다.
셀트리온 브라질법인은 지난 2020년부터 브라질 연방정부 입찰에서 낙찰받았으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낙찰을 이어왔다. 해당 입찰은 브라질 트라스투주맙 시장에서 97%를 차지하고
지난해 역대급 매출을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총 5011명의 1인 평균 급여액이 1억700만 원이었다. 2023년 9900만 원 대비 약 8% 증가했다. 평균 근속연수는 5.2년이다. 셀트리온은 2901명 근로자의 1인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 지난해 연간 매출액이 4778억원으로 전년 대비 22.9% 증가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372억원으로 전년대비 3.19%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356억원, 영업이익 10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42%, 102% 성장했다.
셀트리온제약은 주요 제품의 선전과 신규제품의 매출비
‘램시마’ 국내 첫 블록버스터 등극… 업계에 새로운 이정표 제시국내·유럽서 11개 바이오시밀러 제품 라인업 완성… 2030년 22개 제품 확보 목표 순항‘항체명가’ 명성 이어갈 신약개발 본격화… “2030년까지 매출액 40% 신약서 창출”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한 셀트리온이 올해도 매출 신기록을 경신하고,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유안타증권은 셀트리온에 대해 원가율 상승 등에 힘입어 올해 이익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25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7만4100원이다.
26일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636억 원, 영업이익은 1964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하
셀트리온(Celltrion)은 2024년 연결기준 매출 3조5573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63.45%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49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4.48%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조63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8%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 제품의 고른 성장과 함께 의약품 위탁생산(CMO)에
셀트리온이 통합 첫해 연매출 3조5000억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썼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3조5573억 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조 원 이상 증가한 규모로, 연매출 3조 원을 넘은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4분기는 바이오의약품의 고른 성장에 더해 위탁생산(CMO) 매출이 발생하면서 분기
셀트리온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로부터 데수노맙 성분의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와 오센벨트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스토보클로는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과 골 손실 치료 등, 오센벨트는 암 환자 골전이 합병증 예방과 골거대세포종 등 각각의 오리지널 의약품이 보유한 적응증에 대해 품목 허가를 받았다.
오리지널
셀트리온은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가 유럽에서 처방 1위에 올랐다고 5일 밝혔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기준 베그젤마는 유럽에서 29%의 점유율을 달성하며 오리지널을 포함한 경쟁 제품을 제치고 베바시주맙 처방 1위를 기록했다. 특히 해당 분기에만 전 분기 대비 9% 크게 오르
스텔라라·아일리아 시밀러 등 출격5개 제품 글로벌 시장 규모 30조 원↑램시마 등 기존 제품과 시너지 기대
셀트리온이 올해 최대 5개의 신규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를 추진한다. 예정대로 미국과 유럽에서 모두 허가받으면 최대 11개까지 시밀러 품목이 늘어난다. 셀트리온은 기존 제품의 매출 성장과 신제품 시너지로 실적은 물론 글로벌 시밀러 강자로 입지를
셀트리온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다잘렉스’(다라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44’의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을 획득하고 본격적인 글로벌 임상에 착수한다.
29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이번 FDA 승인을 바탕으로 불응성 또는 재발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 총 486명 대상의 글로벌 임상 3상 절차에 돌입하고,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