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저축은행법 하위규정 개정 추진
정부가 저축은행의 서민·지역 금융 공급 기능을 강화하고 수도권 중심의 여신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상호저축은행법 하위규정 개정에 나선다. 서민금융 확대를 위한 정책서민금융상품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비수도권 여신 가중치를 높여 지역 금융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3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카드사 모두 문턱 높여DSR 3단계 시행 땐 ‘막다른 골목’불법 사금융 유입 우려 커져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강화 여파로 신용점수 500점 이하 저신용자의 제도권 대출 창구가 빠르게 닫히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과 카드사 모두 고위험 차주에 대한 대출을 축소하면서, 저신용자들은 사실상 선택지가 사라진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저신용자 불법 사금융 내몰릴 수도 금융권 안팎 "대출 공급 축소" 지적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법정최고금리를 10%대로 낮추는 방안이 재논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서민 이자부담을 줄이겠다는 선의의 정책이지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오히려 저신용자를 제도권 금융 밖으로 내모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경기
李 "금융취약계층 지원 확대"소비용 아닌 내수부양이 중요청년·고령 등에 맞춰 설계해야전문가 "지속가능한 구조가 핵심"
이재명 정부가 소상공인·청년·서민 등 금융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포용금융’ 확대를 약속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새 정부는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
유력 대선후보 '포용 금융' 강조⋯실행방식은 차이 일부 공약은 재탕 수준⋯포퓰리즘도 여전해
‘6·3 대통령 선거’ 후보들의 금융 관련 공약은 ‘포용’으로 요약된다. 유력 후보 모두 서민과 청년층을 겨냥한 금융 접근성 확대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강조하지만, 실행 방식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헌정 사상 두 번째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인
31일 주총 선거 단독 출마36년 만에 연임 확실 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의 연임이 사실상 확정됐다. 저축은행업계 건전성 확대와 함께 서민금융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강화해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 해결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26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오 회장은 이달 31일 저축은행중앙회 정기총회에서 진행되는 차기 회장 선거에 단독 출마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민생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책무는 정부에 있고, 국민이 안심하고 안전한 일상을 보내실 수 있도록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 대행은 이날 경찰청에서 '민생범죄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국내외 경제적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민생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민생범죄도 지속해서 발생해 국민들의 생계와 안전
기준금리, 대출금리 하락 등 영향평균 신용점수 890.5점, 전년 동월比 13.63점↓연체율 증가에 완화 유지 힘들 듯
가계대출 신용점수가 하락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대출금리가 떨어지면서 은행 문턱이 낮아진 것이다. 다만 은행권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만큼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13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 심사기준 및 절차 발표포용금융 강화…'차별화된 고객' 사업계획 점검예비인가 신청서 접수는 내년 1분기 중 진행 내년 상반기 신규 인터넷전문은행 윤곽 나올 듯
금융당국이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의 신규 인가 시 사업모델의 혁신성과 포용금융의 지속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심사하기로 했다. 특히 '비수도권 중소기업' 등 기존 금융권에서 소외
온라인투자연계금융협회와 저축은행중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저축은행업권 대상 개인신용대출 연계투자 설명회가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관계자, 관련 온투금융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마무리됐다.
협회는 5일 오후 서울시 마포 프론트원 박병원홀에서‘저축은행업권 대상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P2P) 개인신용대출 연계투자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설명회는
12월 31일까지 6개 상품 판매 중단개인대출 취급 한도 관리 차원 2025년 1월 1일 취급 재개 예정
iM뱅크가 오늘(1일)부터 연말까지 두 달간 한시적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일부 개인대출 판매를 중단한다. 개인대출 시장 전체 안정을 위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개인대출 취급 한도를 관리하려는 취지다.
1일 iM뱅크에 따르면 이번 기
디지털 전환 박차…역대급 투자AI활용한 혁신 서비스 가속도콜센터민원처리 등 AI 활용영업점 자동화 업무시간 단축
국내 금융사들이 올해 인공지능(AI) 투자에 역대급 돈을 썼다. 금융권 ‘망분리 규제’ 완화가 본격화되자 AI를 활용한 금융 혁신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30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
세 차례 걸친 ‘단계별’ 규제개선 추진생성형 AI 허용ㆍSaaS 활용범위 확대샌드박스 운영으로 규제 즉시 해소이후 정규 제도화ㆍ자율보안체계 구축 다음 달 중 샌드박스 신청…연내 지정
이르면 올해 말부터 금융회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이 자유로워질 전망이다. 금융권 망분리 도입 후 10년 만에 규제가 개선된 데 따른 변화다. 금융당국은 신속한 대
AI 활용 신용대출 최적금리 전략 방법론 연구수익 양극화 완화 위한 새 '금리전략' 제시KDD 2024서 논문 채택은 국내 금융사 최초
인공지능(AI) 기술금융사 피에프씨테크놀로지스(PFCT)가 개인신용대출 최적금리를 찾는 AI 활용 전략기술을 연구했다고 5일 밝혔다. 이를 상용화하면 금융사의 누적 이익을 극대화하고, 소비자가 더 낮은 금리, 합리적
중ㆍ저신용자의 대출 숨통 카드사12.25%→12.47%…0.22%p↑이자 높아지며 "취지 퇴색" 비판도
금융당국이 카드사의 민간중금리대출 이자 상한선을 인상해 중·저신용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들의 대출 문턱을 높이자 창구 역할을 대신했던 카드사들의 대출 문도 좁아질 전망이다.
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금
5대 은행 1분기 공급액 40% 급감작년에도 목표액 절반 못 채워은행권 “SGI 신용요건 강화 탓”‘퇴짜’ 맞은 차주들 저축은행으로‘사잇돌2’ 공급은 130억 늘어
5대 은행의 사잇돌대출 신규 취급액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은행권 외면에 자금 융통이 어려워진 중·저신용자들이 저축은행으로 몰리는 모습이다. 하지만 신용점수가 낮은 대출자들은 저축은행에서 조차
그로쓰리서치는 13일 국내 최초의 인터넷 전문 은행 케이뱅크 상장 필요성과 관련 기업에 대해 분석했다.
그로쓰리서치에 따르면 인터넷 전문 은행은 은행 업무를 영업점을 거치지 않고 온라인 채널을 통해 간편하게 처리하고, 빅데이터 등 혁신적인 방식을 활용해 중·저신용자에게 중금리 대출을 적극적으로 공급하고자 도입됐다. 현재 인터넷 전문 은행으로 인가를 받
평균 0.92%…시중은행의 3배 이상전문가 "해외진출로 수익개선 모색"
인터넷전문은행들의 높은 파괴력만큼 떠안은 과제도 산적했다. 금융당국의 요구에 발맞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높이면서 연체율도 같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인터넷전문은행 3사(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의 평균 연체율은 0.92%로 전년(0.69%
저축은행 업계가 저신용자 대상 대출 취급을 줄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로 조달 비용이 낮아지면 저신용자 대상 대출 취급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봤지만 법정 최고금리 상한인 20%가 바뀌지 않으면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2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신용점수가 501~600점인 차주를 대상으로 신규 취
인공지능(AI) 기반 금융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핀테크사이자 온투금융사인 피플펀드가 기업 간 기업(B2B) 서비스 '에어팩'에 AI 대출 운영 솔루션을 추가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솔루션 추가로 에어팩을 이용하는 금융회사는 시장 변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대출 승인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피플펀드가 지난해 9월 출시한 에어팩은 AI를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