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명정보 안전하게 결합해 빅데이터 연구…의료 ·정책·공공 등 활용제로트러스트 기반 물리적 분리 공간서 결합 "클라우드 필요" 제언도
"가명 결합정보 시스템 아래 수많은 병원의 데이터가 플랫폼 안에서 물 흐르듯이 흘러갈 수 있도록 목표하고 있다. 정밀 의료 빅데이터 시스템과 다양한 제도들 안에서 향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병을 진단하고 처방이 활성화
수원 윌스기념병원이 최첨단 의료기기를 도입해 진단과 수술의 정밀성 강화했다.
11일 윌스기념병원에 따르면 무릎 인공관절 수술 로봇 '벨리스(VELYS)'와 인공지능(AI) 기반 소화기내시경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에나드(ENAD)'를 도입했다.
메디컬그룹 존슨앤드존슨사의 벨리스는 초당 400회의 관절 정렬 상태를 추적할 수 있고 정확한 절삭 컨트롤이 가
GC지놈(GC Genome)은 자사의 인공지능(AI) 기반 다중암 조기진단 검사 ‘아이캔서치(ai-CANCERCH)’의 조기 췌장암 예측 성능을 확인한 임상연구 결과가 아시아종양학회(Asian Oncology Society 2025)에서 발표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아이캔서치’의 핵심기술인 FEMS(Fragment End Motif frequ
암 진단 활용 ‘엑사원 패스 2.0’ 공개 예측 정확도 세계 최고 수준인 '78%'개인 맞춤형 초정밀 의료 실현 도전
LG AI 연구원이 차세대 정밀 의료 인공지능(AI) '엑사원 패스(EXAONE Path) 2.0'을 공개했다. LG는 본격적으로 암을 정복하기 위한 의료 AI를 실현할 계획이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AI와 바이오를 미래 기술로 강
중동 및 북아프리카 메나(MENA) 지역에 진출한 국내 헬스케어 기업들의 향방이 주목된다. 메나 지역은 인구수가 많고 의약품·의료기기 등에 대한 수요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파머징 마켓’으로,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개척 시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2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메나(MENA) 지역은 과포화 상태인 북미 및 유럽
더존비즈온은 ‘2025 대한의료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해 전시 부스 운영과 기업 특별 세션 발표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22일부터 24일까지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리는 행사에서 더존비즈온은 인공지능 전환(AX) 선도기업으로서, AI·클라우드 기반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선보이며 의료 현장의 디지털 혁신 방향성을 제시한다.
암 분자진단 기업 젠큐릭스(Gencurix)는 글로벌 분자진단 기업 퀴아젠(Qiagen)과 디지털 PCR 기반 암 진단 제품의 개발 및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젠큐릭스는 퀴아젠의 디지털PCR 시스템인 ‘QIAcuityDx Four’를 기반으로 체외진단 제품을 개발하며, 퀴아젠은 해당 제품의 글로벌 독점 유
녹십자홀딩스(GC)의 액체생검 및 임상유전체 전문 계열사인 지씨지놈(GC Genome)은 인공지능(AI) 기반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 ‘아이캔서치(ai-CANCERCH)’의 핵심 기술인 FEMS(Fragment End Motif by Size)가 일본에서 원천특허로 등록됐다고 18일 밝혔다.
아이캔서치는 한번의 채혈만으로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담도암,
연세암병원이 올해 하반기부터 중입자치료기 1대를 추가 가동해 총 3대의 중입자치료기를 운영한다. 적용 암종도 두경부암, 골육종암 등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연세암병원은 17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3대 난치암 치료 성적과 중입자 치료기를 비롯한 암 치료 시스템 구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연세암병원은 1969년 국내
우리나라 국민의 바이오 데이터를 블록버스터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국민에게 배당하자는 정책 제안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K-MELLODDY)사업단 김화종 단장은 11일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국민신약배당 정책’을 공개했다.
K-멜로디사업단은
中 딥시크, 의학 데이터 라벨링 작업LG AI연구원, 의료 전문 '엑사원' 선봬
의료 현장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부터 전문 AI 스타트업까지 앞다퉈 진단·처방 등 정밀의료에 생성형 AI를 적용하며 시장 주도권 경쟁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와 신뢰성 확보 등 해결 과제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
인공지능(AI) 기반 희귀 유전질환 진단기업 쓰리빌리언(3billion)은 오는 11일부터 14일까지(현지시간) 콜롬비아에서 열리는 콜롬비아인간유전학회(Asociación Colombiana de Genética Humana, ACGH 2025)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쓰리빌리언이 남미에서 처음으로 공식 참가하는 유전학 학회로, 중남미
약국에서 구매한 소화제 포장에 적힌 용법·용량을 보면 성인은 1정을 복용하라는 설명이 쓰여있다. 50㎏ 여성과 100㎏ 남성의 몸집은 두 배 가까이 차이 나는데, 모두가 한 알을 먹는 것이 최선일까? 커피, 샌드위치, 마라탕 속 채소까지 개인 맞춤형 주문이 당연한 시대에 건강관리 영역은 예외로 남아있다.
1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여성과 남성을 단순히
혈액을 분석해 심방세동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이 등장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정보영·김대훈·박한진 심장내과 교수, 양필성 의생명과학부 조교 연구팀이 혈액 속 단백질 정보를 기반으로 심방세동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써큘레이션(Circulation, IF 35.5)에 최근
사노피 한국법인은 지난 2일 서울대병원과 미래 임상시험 환경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인공지능(AI), 디지털 헬스케어, 정밀의료 등 첨단 기술 발전으로 임상시험의 설계와 운영 방식이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양 기관이 데이터 기반, 환자 중심의 글로벌 임상 연구를 공동으로 선도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일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세포·유전자치료제(CGT)를 개발하기 위해 영역을 초월하는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바이오텍, 학계, 병원들의 보유 기술과 연구 역량을 결집하는 공동 연구개발(R&D)이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본지 취재 결과 최근 국내 CGT 업계에서 공동 R&D 시도가 활발하다. CGT는 세포와 유전자에 변형을 가해 희귀 난치 질환을 치
삼성벤처투자, 美 '엑소 이매징' 투자 단행삼성메디슨과 '모바일용 초음파 장비' 개발
삼성전자가 최근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주력하고 있는 모양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멈췄던 인수합병(M&A)을 재개했으며, 투자 역시 적극적이다. 삼성전자의 다음 타겟은 ‘헬스케어’ 사업이 유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투자 전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맞춤형 헬스케어 전문기업 에이치이엠파마가 일본에 첫 해외 법인 ‘에이치이엠파마 재팬(HEM Pharma Japan)’을 설립하고 개소식을 통해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도쿄에 위치한 일본 법인은 전략 파트너사인 암웨이재팬 본사와 인접해 있어, 긴밀한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략적 거점
테라뷰가 고출력 레이저 솔루션 선도기업 액스비스(AXBIS)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테라뷰는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기술을 원천기술로 가진 기업이다. 이 기술은 비파괴방식으로 물질의 구조와 성분을 정밀 분석할 수 있어 첨단산업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테라뷰가 보유한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발생 및 응용 검사장비는 반도체 공정
안양윌스기념병원은 진씨커의 ‘암세포 탐색 검사’를 병원 내 도입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 미국, 일본 등 각국에서 특허를 취득한 진씨커의 ‘암세포 탐색 검사’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적용한 원스톱 암 예방 검진이다.
단 10mL의 혈액만으로 혈액 속 극미량의 후천적 암 돌연변이 유전자 조각(ctDNA)을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으로 분석해 암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