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이 자사의 지속형 피하주사(SC) 제형 기술 ‘ALT-B4’에 대한 특허 침해 우려에 대해 “전혀 문제가 없다”며 기술적 독자성과 글로벌 제약사의 높은 수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태연 알테오젠 부사장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컨벤션&엑시비션센터에서 열린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 행사장에서 본지와 만나 “지난해 11월 골드만삭스가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전신경화증은 경피증이라고도 불리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이다. 피부와 혈관, 내부 장기가 딱딱하게 변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폐암은 국내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이자 발생률 3위의 암이다. 특히 폐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이정언 삼성서울병원 유방외과 교수(유방암센터장)가 제12대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으로 취임했다고 11일 밝혔다. 임기는 2025년 5월부터 2년간이다. 김태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유방외과 교수는 학회 회장 자리를 맡게 됐다.
한국유방암학회는 1996년 유방암연구회로 출범해 1999년 지금의 학회로 발전했다. 유방암 연구와 치료 발전을 이끌며 매년 10월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차세대 이중기전 합성치사 항암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Nesuparib)’과 셀트리온의 항암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와의 병용요법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동 연구개발은 난소암 재유지요법 분야의 높은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양사는 이번 공동 연구 개발을 통해 글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 나가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연내 중국에서 잇따른 허가 승인 소식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거대한 의약품 시장으로, 정부의 투자 확대와 중산층의 성장으로 급속하게 팽창하고 있다.
10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중국 의약품 시장은 2025년 1250억 달러(약
약국에서 구매한 소화제 포장에 적힌 용법·용량을 보면 성인은 1정을 복용하라는 설명이 쓰여있다. 50㎏ 여성과 100㎏ 남성의 몸집은 두 배 가까이 차이 나는데, 모두가 한 알을 먹는 것이 최선일까? 커피, 샌드위치, 마라탕 속 채소까지 개인 맞춤형 주문이 당연한 시대에 건강관리 영역은 예외로 남아있다.
1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여성과 남성을 단순히
앱클론은 헨리우스에 기술이전한 AC101(헨리우스 코드명 HLX22)이 HER2 양성 진행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2상 시험에서 투여 후 2년 이상 장기 효과를 보였다고 4일 밝혔다. 해당 결과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초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했다.
HLX22-GC-201 임상 2상 최신 결과에 따르면 A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지난 29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서울 워커힐에서 개최되는 대한골대사학회 국제 학술대회(SSBH 2025)에 참가해 프롤리아(Prolia)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Obodence®, 성분명: 데노수맙)’ 알리기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본 행사의 주요 후원 기업으로서 런천 심포지엄, 학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달 29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워커힐에서 열리는 대한골대사학회 국제 학술대회(SSBH 2025)에 참가해 골질환 치료제인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성분명 데노수맙)를 알린다고 30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행사의 주요 후원 기업으로 런천 심포지엄과 학술 데이터 발표 등을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성을 확보한 제품의 안전
세계 최대 종양학 학술대회인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ASCO 2025)가 30일(현지시간)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열리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이 참석해 주요 임상 연구 성과를 소개한다. ASCO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히는 행사로,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산·학계의 이목을 끌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앱클론(AbClon)은 중국 헨리우스바이오텍(Shanghai Henlius Biotech)에 라이선스아웃한 HER2 항체 ‘AC101(HLX22)’이 유럽 집행위원회(EC)로부터 위암 치료제로 희귀의약품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ODD)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헨리우스는 지난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LX22
앱클론은 중국 헨리우스 바이오텍에 기술을 이전한 항체치료제 AC101(헨리우스 코드명 HLX22)이 유럽 집행위원회(EC)로부터 위암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ODD)을 받은 세계 최초의 항 HER2 표적 치료제가 됐다.
27일 앱클론 관계자는 “이번 지정으로 HLX22는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글로벌 바이오제약기업 테바 파마슈티컬의 자회사 테바 파마슈티컬 인터내셔널 GmbH(테바)와 투즈뉴(성분명 트라스투주맙)의 유럽 판매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투즈뉴는 유방암 및 전이성 위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로 지난해 9월 유럽 집행위원회(EC)로부터 판매 허가를 받았다.
이번 계약에 따라 테바는 판매 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글로벌 제약사 테바 파마슈티컬스와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판매에 나선다는 소식에 급등하고 있다.
이날 오후 3시 1분 현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전 거래일보다 15.58% 상승한 1만52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테바 파마슈티컬스 자회사인 테바 파마슈티컬 인터내셔널 GmbH와 투즈뉴(성분명 트라스투주맙) 유럽 지
상상인증권은 26일 루닛에 대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대규모 전환사채 주식전환 시기가 도래한 만큼 단기적으로는 1년 이내 오버행 이슈를 해소하는 것이 과제라고 판단했다.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전 거래일 종가는 4만6600원이다.
루닛 주가는 2023년 9월에 인공지능(AI) 기반 진단/신약개발에 대한
GC지놈(지씨지놈)은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업설명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2013년 GC녹십자의 자회사로 설립된 지씨지놈은 임상유전체 분석 선도기업이다. △건강검진 검사 △산전·신생아 검사 △암 정밀진단 검사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 검사 등 300종 이상의 다양한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의
국내 최초 특허관리전문기업(NP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의 바이오 특허 전문 자회사 GXD-Bio가 에이비온과 함께 글로벌 유방암 진단 기업을 상대로 유럽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며 주목받고 있다.
23일 GXD-Bio 관계자는 “이번 소송은 유럽 특허법원(UPC, Unified Patent Court)에 제기된 사안”이라며 “암 진단 분야의 글로벌 선
영국 암연구소 주도 병용 임상 1b상 돌입적정용량 확인 후 유효성 평가하는 임상 2a상 진입 예정
킵스바이오파마(킵스파마)는 미국 자회사 알곡바이오(Algok Bio)가 영국 암연구소(ICR) 주도로 난소암 치료제 신약후보 물질인 이데트렉세드(Idetrexed)의 임상 환자 모집을 오는 6월부터 시작한다.
20일 킵스파마에 따르면 영국 의약품 및 건
루닛은 유방암 진단 인공지능(AI) 솔루션인 ‘루닛 인사이트 MMG’와 ‘루닛 인사이트 DBT’를 도입한 미국 내 의료기관이 200곳을 넘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5월 볼파라 헬스 인수 후 1년 만에 달성한 성과로 미국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 결과다.
현재 미국 전역에서 약 400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루닛의 AI 솔루션을 사용 중이며,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