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폭염으로 뜨겁습니다. 낮 기온이 섭씨 36~37도를 넘는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밤에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에 밤잠을 이루지 못하기도 합니다. 폭염이 이어지는 여름철에는 건강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이투데이는 국내 의료진의 도움말을 통해 올바른 폭염속 건강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여름철이면 물놀이를 즐기며 휴가를 보내는 피
AI 코치·통합 데이터 플랫폼…‘삼성 헬스’의 진화“병원 밖 363일도 본다”…예방 중심의 커넥티드 케어로 전환
“헬스케어는 더 달라져야 합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2025’에서 삼성전자는 전 세계 헬스케어 전문가들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건강관리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 스마트
대웅제약(DAEWOONG)은 지난달 20일부터 23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SGLT-2 저해제 계열의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Envlo, enavogliflozin)의 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엔블로 임상3상 데이터를 활용해 동일 계열의 약물
암 진단 활용 ‘엑사원 패스 2.0’ 공개 예측 정확도 세계 최고 수준인 '78%'개인 맞춤형 초정밀 의료 실현 도전
LG AI 연구원이 차세대 정밀 의료 인공지능(AI) '엑사원 패스(EXAONE Path) 2.0'을 공개했다. LG는 본격적으로 암을 정복하기 위한 의료 AI를 실현할 계획이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AI와 바이오를 미래 기술로 강
나스닥 상장사 프로키드니(ProKidney) 주가가 8일(현지시간) 하루 만에 515% 급등했다. 자가세포치료제 ‘릴파렌셀’의 2상 임상 결과가 공개된 영향이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당뇨병성 만성신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시험에서 1그룹 환자의 연간 신장 기능 저하 속도는 치료 전 -5.8에서 치료 후 -1.3으로 크게 개선됐으며 통계적으로도 유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의 바이오시밀러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주요 물질 특허 만료 이후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이 본격적으로 국내 출시된 것은 물론, 후발 기업들도 국내외 허가를 예고해 시장이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7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아일리아의 주요 물질특허가 국내에서 지난해 1월 만료되면서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국내 인슐린 펌프 전문기업 수일개발이 프랑스 인공지능(AI) 당뇨병 치료 전문기업 다이아벨루프(Diabeloop)와 자동인슐린전달시스템(AID) 프로젝트를 통해 유럽 의료기기 유통회사인 네덜란드의 메디큐(Mediq)와 4년간 약 300억 원 상당의 공급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최수봉 수일개발 대표(건국대 명예교수)는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
◇LG
상법개정으로 지배구조 개선되면서 동사 수혜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도입⇒할인율 축소로 인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으로 동사와 같은 지주회사 가장 큰 수혜
감사위원회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의결권 3%로 제한 ⇒ 보다 더 독립적인 감사기구 역할로 동사 지배구조 개선효과 클 듯
이상헌·장호 iM증권
◇신한지주
약 5천억원 자사주 매입
미국, 비만 치료 제공자 확대하고 보험 확대하는 법안 상정국내 비만 환자 5년 새 75%↑…흡연‧음주보다 사회적 비용 커보험 적용 목소리, 점진적으로 고위험군부터 보험 확대 필요
미국이 비만 치료 확대와 건강보험 적용을 추진하면서 국내에서도 비만 치료에 보험을 적용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의회는 비만 치료를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국내 제약사중 처음으로 독자 기술로 개발한 GLP-1 비만 신약(에페글레나타이드)의 이름을 의사들을 대상으로 공모한다. 한미약품은 내년 하반기 출시를 앞둔 GLP-1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의 제품명을 정하기 위한 네이밍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자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의 1.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는 권고 기준 이내를 유지하고 있으나 여자 어린이·청소년은 과도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5년(2019~2023년)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 분석 결과를 1일 발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은 당뇨병치료제 ‘네시나메트서방정(성분명: 알로글립틴+메르포르민)’을 국내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네시나메트서방정은 당뇨병치료제 주성분인 ‘알로글립틴(alogliptin)’과 ‘메트로포민(metroformin)’의 복합제다. 알로글립틴은 혈당조절에 중요한 인크레틴을 분해하는 효소 DPP-4(dip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장마철 기온과 습도가 상승하면서 세균성 감염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비브리오 패혈증 주의보가 고
미국 당뇨병학회(ADA)서, 릴리와 노보노디스크 임상결과 발표
차세대 비만치료제 개발 경쟁에서 일라이 릴리가 노보 노디스크를 앞질렀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에서 20일(현지시간)부터 23일까지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 연례학술대회에서 양사의 임상 데이터가 나란히 공개되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릴리는 먹는 비만약 ‘오포글리프론(orf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Yunovia)는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 ‘ID110521156’으로 진행한 임상1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유노비아는 ID110521156의 임상1상 단회투여 용량상승(SA
경동맥은 목 양쪽에 있는 굵은 혈관이다. 심장에서 뇌로 공급되는 혈액의 80%가 경동맥을 통해 이동한다. 이 경동맥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경동맥 협착증'은 뇌졸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협착이 심해지면 뇌졸중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2011년 미국 의학전문지 신경학(Neurology)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는 경동맥이 좁아지면 뇌졸중 위험이 6
대웅제약(DAEWOONG)은 지난 3일부터 6일(현지시간)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개최된 유럽 집단연구학회(PAGE 2025)에서 SGLT-2 저해제 계열의 제2형 당뇨병(T2D) 치료제인 ‘엔블로(Envlo, enavogliflozin)'의 집단약동학 모델링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와 공동으로 총
동아에스티(Dong-A ST)와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MetaVia)는 지난 22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DA-1241’과 FGF21 유사체 ‘에프룩시퍼민(efruxifermin)’의 병용요법에 대한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DA-1241은
동아ST와 메타비아는 22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당뇨병학회 ‘ADA 2025’에서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241’과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21(FGF21) 유사체 ‘에프룩시퍼민(Efruxifermin)’의 병용요법에 대한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DA-1241은 G
펩트론(Peptron)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차세대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PTAP’ 시리즈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는 지속적 식욕억제 및 혈당조절 효과를 갖는 ‘PTAP-009’에 더해, 새롭게 발굴한 ‘PTAP-010’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