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주춤한 사이 이마트ㆍ롯데 양강구도 형성 이재명 정부 들어서며 사태 반전 기대하는 시선도오프라인 유통 위기감 고조⋯“낡은 규제 개선해야”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지 100일을 앞뒀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은 채 악화일로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채널이 존폐 위기를 대변하는 만큼, 새 정부를 맞아 규제 개선을 통
홈플러스 경영진이 기습 기업회생 신청을 한 지 세 달이 다 돼 가고 있음에도 여전히 이 물음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대주주인 MBK파트너스(MBK)와 홈플러스가 하는 행동을 보면 이해하기 어렵다. 오히려 이들의 책임 회피는 사태 초기보다 더 심해졌다.
현재 홈플러스는 17개 임차 점포에 계약해지를 통보했
조사보고서·회생계획안 제출기한 연기홈플러스, 임대인과 임차료 인하 협상 지속경영실패 MBK, 책임 떠넘기기 비판도
홈플러스가 17개 매장 임대주에 계약 해지하겠다고 통보했지만 물밑에서는 여전히 협상을 벌이고 있다. 임차료를 낮춰 운영비를 줄여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계산인데, 일각에서는 MBK파트너스(MBK)의 부실경영 책임을 전가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홈플러스가 과도한 인수금융 이자로 인해 대규모 적자가 발생했다는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홈플러스는 10일 입장문을 통해 “MBK파트너스의 인수 이전부터 이미 약 3조7725억 원의 부채가 있었고 인수 관련 이자비용 증가분도 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 긴
홈플러스 본사 인근 트레이더스 마곡, 오픈 초기ㆍ홈플 사태에 매출 달성률 140%롯데마트도 전년 대비 약 5% 매출 증가...주가까지 훈풍
대형마트업계 2위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경쟁사가 벌써부터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연일 초저가 행사로 고객 잡기에 주력 중인데, 실적 기대감이 높아지며 주가에도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18일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경영 실패를 인정하고 고려아연 인수 후에는 "전문 경영진, 고려아연 경영진을 중심으로 경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영풍-MBK파트너스는 고려아연 경영권을 두고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과 반년째 분쟁 중이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야당 의원(간사)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