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내리고 전셋값 오르고…서울 전세가율 사상 최고

입력 2014-08-11 14: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의 2분기 주택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사상최고치인 64%를 기록했다. 주택가격은 내리고 전셋값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조만 실물자산연구팀장과 송인호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11일 '2분기 부동산시장 동향 분석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2분기 서울의 실질 주택매매 가격은 1년 전보다 1.8% 하락, 전국의 주택매매 가격 등락률(-0.2%)과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서울의 주택 매매가 하락률은 지난해 3분기 -4.0%를 저점으로, 4분기 -2.4%, 올해 1분기 -1.7% 등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한번 커진 것이다. 강북 지역의 주택 가격 하락률은 -1.9%로 강남 지역의 -1.6%보다 컸다. 서울의 주택매매 가격은 직전 분기에 비해서도 0.6% 하락했다.

경기와 인천 지역 역시 1년 전보다 매매 가격이 각각 1.2%와 1.6% 하락했다. 다만 전 분기보다는 0.6%, 1.4%씩 올라 서울 지역과는 온도차를 보였다. 대구는 1년전보다 7.4% 올라 유독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구와 울산, 광주 등 지역은 공급 과잉이 해소되면서 가격이 오르는 추세다.

실질 주택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1년 전보다 4.4% 올랐다. 경기가 6.8%, 대구 6.4%, 서울은 5.8% 상승했다. 매매 가격은 하락하는 가운데 전세가격은 오르면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8.8%이고, 서울은 64.0%, 경기는 67.1%를 기록했다. 장기 평균과 비교해보면 서울과 경기 지역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각각 13.2%포인트와 16.6%포인트 상승, 전국의 8.7%포인트와 역시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특히 서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2009년 1월 38.2%와 5년 만에 두 배 가까운 격차를 보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분기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24만6125건으로 1년전보다 17.8% 감소했고 장기평균보다는 11.0% 증가했다. 서울의 주택매매 거래량은 3만1679건으로 장기평균인 3만4477건에 못 미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연준, 기준금리 동결…연내 2차례 인하 시사
  • 오늘은 '춘분'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춘분 뜻은?
  • 삼립 크보빵 오늘(20일) 출시…구매는 어디서?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3차예선 오만전…중계 어디서?
  • 이진호, 故 김새론 美 결혼설 폭로에 누리꾼들 싸늘…"이게 무슨 상관?"
  • 파월 “관세 인플레이션, 일시적일 수도”
  • “닭만 팔아선 못 버틴다”…사업 다각화 나선 ‘치킨 빅3’
  • 가입자 600만 육박했는데…표류하는 ISA 세제혜택 법안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523,000
    • +4.38%
    • 이더리움
    • 3,000,000
    • +6.16%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2.35%
    • 리플
    • 3,731
    • +11.01%
    • 솔라나
    • 197,300
    • +7.23%
    • 에이다
    • 1,084
    • +5.04%
    • 이오스
    • 845
    • +2.8%
    • 트론
    • 340
    • -2.3%
    • 스텔라루멘
    • 424
    • +5.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350
    • +3.57%
    • 체인링크
    • 21,790
    • +7.13%
    • 샌드박스
    • 438
    • +3.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