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금리 인상 러시…서민부담은 가중

입력 2011-05-08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 서민들의 가계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8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번 주 은행권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009년 1월초 이후 2년 4개월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CD 금리가 6일 현재 3.46%로 지난달 21일 이후 보름간 0.06%포인트 오르면서 28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데 따른 것이다.

국민은행의 이번 주 CD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연 5.17∼6.47%로 지난주초보다 0.04%포인트 높아졌다.

우리은행 주택대출 금리는 이번 주초 4.86∼6.20%로 최고금리가 6개월전보다 0.90%포인트 급등했다.

신한은행은 5.06∼6.46%로 6개월간 0.80%포인트 상승했으며, 외환은행은 4.88∼6.63%로 0.63%포인트 오르면서 최고금리가 6.6%를 넘었다.

주택대출 금리 상승으로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도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개월 전 주택을 담보로 우리은행에서 2억원을 대출했다면 연간 이자 부담이 애초보다 180만원 늘어날 수 있다.

금리 변동성이 큰 CD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코픽스 금리가 상승하면서 6개월마다 금리가 변하는 코픽스연동 주택대출의 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주 국민은행의 코픽스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연 4.17∼5.57%로 작년 11월 중순보다 0.33%포인트 상승했다.

우리은행은 4.06∼5.60%로 최고 금리가 0.59%포인트 급등했으며, 신한은행은 3.86∼6.26%로 0.25%포인트 올랐다.

1년마다 금리가 변하는 외환은행의 코픽스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4.49∼6.26%로 최고 금리가 1.20%포인트 급등했다.

이달 중순 코픽스 기준 금리가 추가로 인상되면 가계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신규 취급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CD 등 시장금리 연동 대출과 코픽스 등 수신금리 연동 대출의 비중은 각각 22.3%와 63.7%를 차지했다.

또한 은행권의 신용대출 금리도 인상되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은 지난달말 직장인신용대출의 기준금리를 금리변동 주기별로 0.05∼0.18%포인트 인상했다.

6개월변동 신용대출 금리는 8.39%로 0.18%포인트 높아졌고 1년변동과 2년변동은 8.17%와 8.14%로 0.9%포인트와 0.08%포인트 올랐다.

한편, 오는 7월부터 근저당권 설정비를 은행이 부담하게 된 것도 실질적인 이자 부담을 키울 수 있다.

은행들은 그동안 근저당권 설정비를 고객이 부담하면 대출금리를 0.10∼0.20%포인트 감면해줬지만, 공정위의 은행 여신 관련 표준약관 개정으로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고객이 부담할 수 없게 되자 대출금리 감면 혜택도 없앨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근저당권 설정비를 부담하게 된 은행들이 어떤 형태로든 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할 것으로 보여 고객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HLB, 간암 신약 FDA 승인 불발…“2차 보완요구서한 수령”
  • '무승부' 오만전, 업혀 나간 이강인…부상 정도는?
  • 글로벌 기관은 가상자산 투자 늘린다는데…국내는 법인참여 ‘속도’ 혼선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오늘(21일) 3막 9~12화 공개 시간은?
  • 인도네시아 팬들이 '신태용'을 1만 번이나 외친 이유
  • 젠슨 황 "삼성 그래픽 메모리 최고"…다시 한번 친필 사인
  • MBK가 쏘아올린 공, 속도붙는 PEF 규제 [사모펀드의 늪⑤]
  • ‘나솔사계’ 재롱은 10기 영식이 피웠는데…14기 경수, 세 여자 선택받았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09: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506,000
    • -1.26%
    • 이더리움
    • 2,935,000
    • -1.48%
    • 비트코인 캐시
    • 491,500
    • -2.58%
    • 리플
    • 3,591
    • -2.34%
    • 솔라나
    • 189,300
    • -3.22%
    • 에이다
    • 1,065
    • -0.84%
    • 이오스
    • 819
    • -1.56%
    • 트론
    • 343
    • +1.78%
    • 스텔라루멘
    • 416
    • -0.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00
    • +0%
    • 체인링크
    • 21,020
    • -3.31%
    • 샌드박스
    • 427
    • -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