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89% “내년 수출도 호조세”

입력 2010-12-13 11:00 수정 2010-12-13 12: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상의 조사…수출대상국 경제회복 이유

올해 수출이 작년에 비해 30% 이상 늘어나는 등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인 가운데 내년에도 이 같은 호조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수출제조기업 51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 수출 전망과 정책과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출기업의 49.8%는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늘어날 것’, 39.2%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줄어들 것’이란 응답은 11.0%에 그쳤다.

수출 호조를 예상하는 이유로는 ‘수출대상국의 경제회복으로 인한 수요 증가’(35.9%), ‘품질·이미지 등 비가격경쟁력 강화’(32.7%), ‘수출시장에서의 경쟁 강도 약화’(9.7%) 등을 꼽았다.

수출 유망 지역으로는 35.9%의 기업이 ‘아시아(중국·인도 제외)’를 꼽았고, 이어 ‘브릭스(BRICs)’(26.1%), ‘북미’(24.1%) 등을 차례로 꼽았다. 대한상의는 “작년 하반기 이후 아시아와 브릭스 등 신흥시장이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휴대폰,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내년 수출 유망품목을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기업이 ‘자동차·부품’(24.1%)을 꼽았으며, ‘반도체·디스플레이’(22.9%), ‘가전’(15.5%), ‘정보통신·휴대폰’(13.9%) 등이 뒤를 이었다.

수출기업들은 내년 원·달러 환율을 평균 1,111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의 환율보다 최고 40원 정도 낮은 것으로 내년 수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상의측은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할 경우(원화 가치가 10% 상승할 경우)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55.6%의 기업은 ‘수출이 줄어든다’고 답했으며, ‘별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도 39.4%나 됐다. <‘수출이 늘어난다’(5.0%)>

원·달러 환율 10% 하락 시 대기업의 수출은 10.7% 감소하고, 중소기업은 14.2% 감소한다고 응답해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환율 변동에 더 민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원·달러 환율 10% 하락이 업종별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기계·정밀기기’(17.2%)와 ‘가전제품’(16.2%) 부문의 수출이 비교적 크게 감소하고, ‘반도체·디스플레이’(9.3%)와 ‘석유·화학·에너지’(9.4%) 부문은 상대적으로 작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환율 변동성에 대해서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는 응답이 57.4%, ‘변동성이 더 심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25.7%를 차지해 많은 기업들이 내년에도 환율 불안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환율 불안이 예상되는 이유로는 ‘글로벌 환율 갈등 지속’(48.8%), ‘주요국 재정 적자 심화, 미국·중국 경기 둔화 가능성 등 세계경제 불안요소 상존’(43.4%)을 가장 많이 꼽았다.

환율 안정을 위한 조치로 가장 많은 기업인 51.2%가 ‘외환·자본시장 확대’를 꼽았고, 이어 ‘해외 투기자금에 대한 규제 강화’(34.9%), ‘단기외채 규모 축소’(23.9%) 등을 꼽았다.

내년 수출 증대를 위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환율 안정’(49.0%), ‘수출금융 지원 강화’(41.0%), ‘해외 전시회·마케팅 참가 지원’(21.1%), ‘신규 FTA 적극 추진’(20.3%) 등을 차례로 꼽았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올해 수출액과 무역 흑자 규모는 사상 최대치가 예상되지만, 세계경제 회복세 둔화, 환율 하락, 원자재가 상승 등 불안요인이 아직 상존하고 있다”면서 “내년에도 수출 호조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환율 안정, 수출금융 지원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32,000
    • +1.11%
    • 이더리움
    • 5,319,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08%
    • 리플
    • 722
    • -0.55%
    • 솔라나
    • 230,000
    • -1.2%
    • 에이다
    • 632
    • -0.32%
    • 이오스
    • 1,142
    • +0.26%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06%
    • 체인링크
    • 25,390
    • -2.04%
    • 샌드박스
    • 651
    • +3.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