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李 나토 불참 두고 "매우 잘못된 판단…깊은 우려"

입력 2025-06-23 11: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힘 외통위원들, 23일 국회서 기자회견
"정부·여당 대응, 이름만 실용외교…국익 책임 다하지 못해"
한동훈·김기현 등도 비판 가세…"기분파" "냉철한 선택 아냐"

▲국민의힘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중동발 리스크 대응할 기회인 나토 정상회의 불참은 잘못된 결정"이라며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2025.6.23 (연합뉴스)
▲국민의힘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중동발 리스크 대응할 기회인 나토 정상회의 불참은 잘못된 결정"이라며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2025.6.23 (연합뉴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민의힘 의원들은 23일 이재명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정상회의 불참 결정에 대해 "매우 잘못된 판단"이라며 비판했다.

국민의힘 외통위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대통령이 24~25일로 예정된 나토 정상회의 불참과 관련해 "현 정부와 여당의 대응은 이름만 실용외교일 뿐 우리 국익을 위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번 사태는 이미 수출 부진과 내수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 전반에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다"며 "중동발 원유 공급 차질로 인한 국제 유가 급등과 이에 따른 물가 상승, 기업 수익성 악화 등이 우려된다"고도 했다.

이어 "특히 호르무즈 해협은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중동산 원유의 대부분이 통과하는 핵심적인 해상 요충지"라며 "호르무즈 해협이 실제로 봉쇄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지면 우리 국민이 체감할 타격은 훨씬 더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번 나토 정상회의는 중동 사태로 인한 안보·경제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국제 공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외교적 계기였다"며 "이번 불참으로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한국이 미국의 동맹국 중 가장 약한 고리로 인식돼 도리어 중국과 러시아의 강압 외교 대상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은 '국내 현안'과 '중동 정세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국민은 이렇게 묻고 있다"며 "그토록 급박한 국내 현안이 무엇인가. 중동 정세가 불안할수록 왜 동맹국과의 공조 무대는 피하나.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게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인가"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대통령실을 향해서는 "나토 정상회의 불참이 초래할 외교·안보적 파장을 직시하고 국민 앞에 즉시 해명하라"고 촉구했다.

이외에도 국민의힘 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나토 불참, 이재명 정부 외교정책을 이른바 '대미 자주파'가 주도하겠다는 공개선언 같다"며 "언제적 자주파인가. 2025년 블록화된 국제정세 하에서 그런 실리도 국익도 버리는 정책은 '자주파'라기보다 '기분파'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김기현 의원도 이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불참에 대해 "우리나라의 국익을 최우선에 둔 냉철한 선택이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결국 우리의 나토 정상회의 불참과 이로 인한 우방국과의 균열을 좋아할 나라는 우리의 나토 참석을 비판해 온 중국, 러시아, 북한일 것"이라며 "믿고 싶지 않지만 또다시 외교적 고립을 자초하는 '왕따 외교'의 길로 가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5: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6,113,000
    • +3.71%
    • 이더리움
    • 4,131,000
    • +2.84%
    • 비트코인 캐시
    • 696,500
    • +1.24%
    • 리플
    • 3,974
    • +5.19%
    • 솔라나
    • 226,200
    • +2.96%
    • 에이다
    • 1,024
    • +3.75%
    • 트론
    • 412
    • +0.98%
    • 스텔라루멘
    • 650
    • +1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630
    • +2.81%
    • 체인링크
    • 21,840
    • +5.76%
    • 샌드박스
    • 440
    • +10.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