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추경 기회 달라…국민의힘, 윤석열 척결 의지 보여야”

입력 2025-06-22 16: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병기, 대통령-여야 오찬서 추경 협조 강력 요청
김민석 총리에 대해선 "청문회도 전 판단 부적절"
국민의힘에 반성 촉구…"사법독립 요구 전 반성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와 오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와 오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사진=뉴시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2일 추가경정예산(추경) 처리에 대한 야당의 협조를 강력히 요청했다. 국민의힘에 대해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한 척결 의지를 먼저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22일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서 "모든 정책에 있어서 제일 나쁜 것은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추경에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추경 같은 문제만 봐도 윤석열 정부에서 아쉽고 정말 실패한 것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라며 "100% 잘 될지 안 될지 그건 모른다. 근데 저희는 이런 방법으로 하면 돌파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추경을 요구하는 것이고, 그렇다고 한다면 기회를 줘야 된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는 청문회 이전의 판단을 경계했다. 김 원내대표는 "인사는 여론에 흔들리면 그 인사는 망한다"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 거기에 흔들리기 시작하거나 또는 공개되지 않는 사실에 의해 인사를 중점을 두기 시작하면 그 인사는 제대로 진행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문회에서 모든 걸 다 들어보시고 판단하셔야 된다. 청문회가 열리기도 전에 이것을 저희가 어떤 사실로 비정을 한다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인사청문회 제도 자체의 개선 필요성도 제기했다. 김 원내대표는 "인사를 전공한 사람으로서 이 인사청문회법 자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인사청문회법의 개정 문제부터 시작해서 근본적인 법 개정을 통해서 적절한 방법을 통해 후보를 고를 수 있는 제도가 생겨 나야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정말로 유능한 인재가 거부하는 경우들이 왕왕 생긴다. 그것은 국민의힘 정부에서도 마찬가지였고 문재인 정부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짚었다.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국민의힘에서 진정성을 보이려면 (사법독립을) 요구하기 전에 반성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을 한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해서 단호하고, 흔들림 없는 그런 척결 의지를 갖다 보여야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12월 3일 친위 쿠데타에 의한 내란으로부터 시작이 된 것"이라며 "국가를 누란의 위기에 빠뜨린, 그리고 윤석열 대통령을 배출했던 국민의힘에서 진정 어린 반성의 토대 위에 협치에 나섰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600,000
    • +0.52%
    • 이더리움
    • 3,989,000
    • -1.34%
    • 비트코인 캐시
    • 690,500
    • -2.75%
    • 리플
    • 3,770
    • +1.95%
    • 솔라나
    • 216,400
    • -3.35%
    • 에이다
    • 964
    • -4.65%
    • 트론
    • 408
    • +1.75%
    • 스텔라루멘
    • 533
    • +16.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020
    • -2.86%
    • 체인링크
    • 20,410
    • -3.09%
    • 샌드박스
    • 386
    • -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