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애리조나에 건설 구상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인공지능(AI)과 로봇을 위한 1조 달러(약 1366조 원) 규모의 첨단 산업단지를 미국 애리조나주에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의 TSMC에 협력을 제안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0일 보도했다.
블룸버그가 인용한 소식통에 따르면 손 회장은 중국 선전에 있는 대규모 제조 허브의 미국판을 구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첨단 기술 제조를 미국으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이 산업단지는 AI 기반 산업용 로봇 생산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룸버그는 “손 회장은 그간 수많은 올인 베팅과 수천 배 수익, 수십억 달러 손실을 경험했다”면서 “‘’프로젝트 크리스털 랜드(Project Crystal Land)’라는 코드명을 가진 이 애리조나 단지 구상은 67세인 손 회장의 경력 중 가장 야심에 찬 시도다”라고 풀이했다.
소프트뱅크 측은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을 제조하는 TSMC가 이 프로젝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를 바라고 있으나, TSMC가 이미 미국에 16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애리조나 첫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한 상황에서, TSMC에 어떤 역할을 기대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또한 TSMC가 이 제안에 관심이 있는지도 불분명하다고 언급했다.
관련 뉴스
손 회장은 이 프로젝트에 관한 관심을 다양한 기술 기업에 직접 타진하고 있으며, 한국의 삼성전자 임원진에도 이 프로젝트를 제안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소프트뱅크 측은 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포함해 연방 및 주 정부 관계자들과 회동해 공장 건설 및 산업단지 투자 기업에 대한 세금 혜택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블룸버그는 “이 계획은 아직 초기 단계”라며 “실행 가능성은 트럼프 행정부와 주 정부의 지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손 회장이 구상한 이 프로젝트에는 최대 1조 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수 있으며, 실제 규모는 주요 기술 기업들의 관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면서 “이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손 회장은 미국 전역에 여러 첨단 산업단지를 추가로 건설할 구상을 하고 있다”고 알렸다.
소프트뱅크는 애리조나 프로젝트 외에도 오픈AI에 최대 300억 달러를 투자하려는 계획과, 미국의 반도체 설계업체 암페어컴퓨팅을 65억 달러에 인수하려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또한 오픈AI, 오라클, 아부다비의 MGX와 함께 ‘스타게이트’라는 벤처에 자금을 투자해 전 세계 데이터 센터 및 관련 인프라에 수천억 달러를 투입하려고 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3월 말 기준 보유 현금이 3조4000억 엔(약 32조원, 230억 달러)이다. 이후 티모바일의 보유 지분 가운데 4분의 1을 매각해 48억 달러를 추가로 조달했다. 소프트뱅크의 순자산은 약 25조7000억 엔이며, 이 중 최대 비중은 반도체 설계사 암(Arm)이 차지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십억 달러를 추가 차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