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AP “이스라엘, 이란 아라크 핵시설 공격...이란국영TV 보도”

입력 2025-06-19 15: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스라엘, 공격 전 X 통해 공습 및 대피 경고
이란의 항복 거부 하루 만에 이뤄진 공격
방사능 유출은 없어
이란, 20발 이상 미사일로 반격...충돌 격화

▲이스라엘군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 페르시아어 계정에 게시한 대피령. 연합뉴스
▲이스라엘군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 페르시아어 계정에 게시한 대피령. 연합뉴스

이스라엘이 19일(현지시간) 이란 아라크 핵시설을 공격했다고 AP통신이 이란 국영TV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스라엘은 7일째 이란을 향한 공습을 이어가고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이날 오전 아라크 중수로 핵시설을 공습했다. 이란 국영TV는 아라크 핵시설의 근무 인원 등은 공격 전 미리 대피했으며 방사성 물질 누출 위험도 없다고 전했다. 아라크 중수로 핵시설은 수도 테헤란에서 남서쪽으로 250km 떨어졌다.

이스라엘군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 페르시아어 계정을 통해 아라크 중수로 인근 지역 타격을 예고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대피를 권고했다.

해당 게시글에는 아라크 중수로 시설 주변 약 2㎞ 반경에 붉은색 원을 친 위성사진도 첨부됐다. 이스라엘군은 “이란 정권의 군사 시설물을 타격하기 전에 즉각 대피하라. 이 지역에 머무는 경우 생명이 위험하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의 아라크 핵시설 공습은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미국의 항복 요구를 거부하면서 “미국의 군사 개입은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이 처음은 아니다. 이스라엘은 13일부터 이어진 공습 과정에서 나탄즈 지하 우라늄 농축시설과 테헤란 주변의 원심분리기 작업장, 이스파한의 핵시설 등을 공격했다.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군 수뇌부는 물론 핵 과학자들도 사망했다.

유엔 산하 국제 감시기구인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스라엘을 향해 이란 핵 시설 타격 자제를 촉구해왔다. IAEA 관계자들은 지난달 14일 이란 핵시설을 사찰하며 아라크 핵시설을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도 이스라엘에 20발 이상의 미사일 발사로 반격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방산업체 재취업 러시…2년째 취업제한 ‘0건’ [K-방산, 다음을 묻다②]
  • [체험기] "이게 진짜 폴더블폰 맞아?"… 끝판왕 ‘갤럭시 Z폴드7’
  • "엄청난 밸류" 美서 극찬…'면비디아' 제대로 터졌다
  • 거침없는 코스피에 '시총 3000조' 시대 연 국내 증시
  • 야구 1위·빵의 도시 '대전'…제주 제치고 국내 인기 여행지로 부상 [데이터클립]
  • 단독 "카드 가맹점 매출액 산정 시 세금 제외" 입법 추진⋯카드사, 사면초가
  • "항해는 계속된다"…에이티즈 '재계약'이 독보적인 이유 [엔터로그]
  • 폭염, 생존게임 수준…일사병·열사병 온열질환 구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7.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651,000
    • +1.3%
    • 이더리움
    • 3,778,000
    • +4.48%
    • 비트코인 캐시
    • 695,500
    • +0.43%
    • 리플
    • 3,302
    • +2.26%
    • 솔라나
    • 213,500
    • +2.01%
    • 에이다
    • 849
    • +1.92%
    • 트론
    • 396
    • +1.02%
    • 스텔라루멘
    • 392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050
    • +0.15%
    • 체인링크
    • 19,470
    • +1.62%
    • 샌드박스
    • 367
    • +4.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