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에 따른 윤리적 위험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자체 윤리 기준을 마련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AI 기술 활용 윤리 기준을 담은 ‘AI 윤리원칙’을 제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생성형 AI 활용이 공공기관을 비롯한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윤리적 위험 예방과 신뢰성 확보가 주요 이슈로 부상한 데 따른 조치다.
이번 AI 윤리원칙에는 △인간 존엄성 △공공성 △다양성 존중 △투명성 △데이터 관리 △신뢰성 및 개인정보보호 △인간의 감독 △안전성 △윤리적 활용 △협력 및 연대성 등 10대 핵심가치가 담겼다. 이 기준은 유네스코(UNESC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 기준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됐으며, 공사의 경영이념인 ‘사람존중 열린경영’을 실현하는 디지털 윤리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이미 지난해 AI 기술을 활용한 감사·예산·노무·인사 분야 업무 효율화 프로그램인 ‘이바름(e-바름)’을 도입해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이 같은 노력을 인정받아 윤경ESG포럼이 주관하는 윤리경영 우수상도 수상했다.
관련 뉴스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은 “공공부문에서 AI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과 신뢰성”이라며 “AI 윤리원칙 제정을 시작으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전기안전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