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 3단계 우려에…수도권 주택사업경기 비관 전망 확대

입력 2025-06-17 11: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6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동향.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2025년 6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동향.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수도권 주택사업자의 경기 비관 전망이 커졌다.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으로 주택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3.9포인트(p) 상승한 93.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98.3으로 6.1p 하락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낮으면 비관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경기는 100에서 92.8로 7.2p, 인천은 96.6에서 95.8로 0.8p 떨어졌다. 서울은 10.4p로 낙폭이 가장 컸지만 106.2로 기준선을 웃돌았다.

주산연은 "7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 예정인 스트레스 DSR 3단계 확정으로 주택 수요 위축 우려가 커진 데 더해 과천·분당 등 일부를 제외하면 뚜렷한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의 긍정적 인식이 강한 것은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서울로 집중되고 있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비수도권은 6.1p 상승한 92.5로 집계됐다. 광역시는 94.6, 도 지역은 90.9로 각각 3.7p, 7.8p 올랐다. 광역시는 대전(76.4→108.3)의 오름폭이 가장 컸고 울산(86.6→100.0)과 세종(118.7→123.0)도 상승했다. 광주(94.1→80.0)와 부산(86.3→73.3)은 하락했고 대구(83.3)는 지난달과 같았다.

도 지역은 경북(69.2→100.0), 전남(66.6→88.8), 강원(70.0→83.3), 충남(92.3→100.0), 제주(83.3→90.0)가 상승했고 충북(100.0→87.5), 경남(91.6→88.8), 전북(91.6→88.8)은 하락했다.

지방대출규제 완화와 함께 새 정부의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 마련 기대감이 비수도권 지수 상승의 배경으로 꼽힌다.

자금조달지수는 1p 오른 80.3, 자재수급지수는 1.7p 상승한 97.9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842,000
    • +0.05%
    • 이더리움
    • 4,030,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704,000
    • -1.19%
    • 리플
    • 3,827
    • +7.23%
    • 솔라나
    • 220,200
    • -1.12%
    • 에이다
    • 981
    • +0%
    • 트론
    • 412
    • +2.74%
    • 스텔라루멘
    • 539
    • +25.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560
    • -1.52%
    • 체인링크
    • 20,790
    • -1%
    • 샌드박스
    • 394
    • -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