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3사 “캐즘 돌파구는 ESS” [AI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中]

입력 2025-06-1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6-16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이를 떠받치는 데이터센터가 ‘디지털 인프라의 심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눈부신 속도만큼 그림자도 짙다. 전력 소비 폭증과 발열, 환경 규제와의 충돌은 또 다른 산업·정책의 과제다. 삼성·LG·SK 등 주요 기업들은 냉각·저전력·에너지 저장 기술로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친환경 전환과의 충돌은 피할 수 없다. 데이터센터는 AI 시대의 필수 인프라인가, 기후위기의 뇌관인가. 본지는 산업·기술·환경을 가로지르는 이 딜레마를 집중 조명한다.

AI 데이터센터향 ESS 시장
2030년 26.7억달러 전망

전기차→ESS 라인 전환 등
K배터리 사업 확대 주력

▲그래픽=김소영 기자 sue@
▲그래픽=김소영 기자 sue@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한풀 꺾이면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ESS가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른 것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올해부터 ESS 사업에 본격적으로 힘을 싣고 있다. ‘맏형’ LG에너지솔루션은 발빠르게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섰다. 2022년 설립한 자회사 버테크를 통해 북미 ESS 사업을 본격화했고, 지난해에만 세 차례 조(兆) 단위 수주를 따냈다. 최근에는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의 일부 전기차 배터리 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고 이달 초부터 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에 들어갔다.

삼성SDI는 올 3월 미국 최대 전력 회사인 넥스트에라에너지와 삼원계(NCA) ESS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최근 유럽 상업용 ESS 선두 기업인 독일 테스볼트에도 자사의 일체형 ESS 제품인 ‘삼성 배터리 박스(SBB)’를 공급하기로 했다. 데이터센터 수요를 겨냥한 무정전전원장치(UPS) 시장도 공략 중이다. UPS는 데이터센터 등에 정전이 발생했을 때 긴급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삼성SDI가 독자 개발한 ‘U8A1’은 랙당 출력이 기존 대비 40% 높아졌고, 장수명 특성을 갖췄다.

SK온도 지난해 말 ESS 사업부를 대표이사 직속으로 옮기고 ‘ESS 솔루션&딜리버리실’을 신설해 ESS 사업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서 운영 중인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의 유휴 설비를 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은 ESS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액침냉각 기술 등 데이터센터 전용 에너지 솔루션 사업 전반으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전기차 중심의 성장 전략이 한계에 부딪힌 상황에서 ESS는 배터리 업계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센터용 ESS 시장은 지난해 15억8000만 달러에서 2030년 26억7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 관계자는 “AI 시대 개화와 함께 ESS는 단순히 전기를 저장하는 기능을 넘어 전력망을 안정화하고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 전력망용 ESS 배터리 컨테이너 제품  (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전력망용 ESS 배터리 컨테이너 제품 (제공=LG에너지솔루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82,000
    • +0.81%
    • 이더리움
    • 3,998,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3.63%
    • 리플
    • 3,726
    • +1.31%
    • 솔라나
    • 218,200
    • -0.27%
    • 에이다
    • 963
    • +0.73%
    • 트론
    • 412
    • +1.48%
    • 스텔라루멘
    • 535
    • +10.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640
    • +1.37%
    • 체인링크
    • 20,480
    • -0.34%
    • 샌드박스
    • 389
    • +0.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