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식품 시장 5년 새 5배 성장… 일동후디스 울고 남양유업 웃는 이유

입력 2025-06-17 05: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6-16 17:3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연령대 불문 건강 중시⋯간편 섭취ㆍ고단백 선호
편의성ㆍ제품 형태 변화 속 후발주자 흥행 빨라

▲'하이뮨' 프로틴 밸런스  (사진제공=일동후디스)
▲'하이뮨' 프로틴 밸런스 (사진제공=일동후디스)

‘저속노화’와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힘입어 국내 성인 단백질 식품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물에 타 먹는 분말형 제품(파우더)부터 음료, 바 형태까지 너도나도 단백질 제품 출시가 이어지면서 이른바 춘추전국 시대를 방불케 한다. 이로 인해 시장을 먼저 선점하고 나섰던 선발 업체의 성장세는 주춤한 반면, 후발주자 업체는 되레 다양화한 고객 요구에 부응한 신제품으로 빠르게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다.

1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은 2018년 800억 원대에 그쳤으나 2023년 4500억 원으로 급성장했다. 2026년까지 8000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대로라면 10년 내 시장 규모가 10배가량 커지는 셈이다.

단백질 식품 시장이 커지면서 업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급속히 수요가 늘면서 고객이 원하는 제품 트렌드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과거 단백질 식품 시장의 주류였던 파우더 대신 최근엔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음료(RTD·Ready to Drink)와 바 형태가 대세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의 올 2분기 단백질 음료 매출은 지난해보다 30.1%, 단백질 바는 11.6% 각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상황은 업체별 실적을 봐도 마찬가지다. ‘셀렉스’를 전개하는 매일헬스뉴트리션의 2024년 매출은 8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5% 줄었다. 영업손실도 49억 원으로 전년(53억 원) 대비 7.3% 줄었다. 최근 3년 간(2022~2024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등 생산실적’ 통계에 따르면, ‘하이뮨’을 전개하는 일동후디스의 연 매출 규모는 2022년 1333억 원, 2023년 839억 원, 2024년 559억 원으로 최근 다소 주춤한 상태다.

▲시중에 판매 중인 단백질 음료 제품들. (사진제공=각사)
▲시중에 판매 중인 단백질 음료 제품들. (사진제공=각사)

반면 신제품을 앞세운 후발주자 공세는 매섭다. 남양유업은 자체 단백질 브랜드 ‘테이크핏’ 리뉴얼을 꾸준히 진행, 고객군 확보에 힘쓰고 있다. 테이크핏은 음료 형태의 △테이크핏 맥스 △테이크핏 프로 △테이크핏 아쿠아 △테이크핏 몬스터 등 4개 제품군을 보유 중이다. 남양유업 오프라인 매장의 단백질 음료 매출은 2024년 상반기 기준 611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7.1% 상승했다.

오리온의 고함량 단백질 브랜드 ‘닥터유프로’도 순항 중이다. 브랜드 출시 2년 11개월 만인 올해 4월 누적 매출액 600억 원을 돌파했다. 매출 500억 원 달성 이후 불과 5개월 만의 성과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최근 단백질 음료는 보다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고 함량을 높인 고성능 제품이 인기”라며 “신제품 출시에 따른 연쇄 효과로 같은 브랜드 기존 제품 매출도 함께 늘어나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역대급 폭염에 물가 덩달아 고공행진...올 여름 '히트플레이션' 이어지나
  • KBO 올스타전서 나눔 4연승…'미스터 올스타' 주인공은 LG 박동원
  • 삼성전자, 문화공간 '갤럭시Z폴드7∙플립7 스튜디오' 더현대 서울에 오픈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정부, 자율주행차 안전성 검사 내년부터 본격 실증
  • 맥도날드서 ‘고치돈’ 맛이?⋯익숙하면서 새로운 ‘익산 고구마 모짜렐라 버거’ [맛보니]
  • '전참시' 조유리, '오징어게임' 오디션 4차까지⋯"간절함에 혼자 머리도 잘라"
  • 티웨이항공, 인천-밴쿠버 노선 신규 취항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40,000
    • +0.73%
    • 이더리움
    • 3,994,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3.77%
    • 리플
    • 3,712
    • +0.71%
    • 솔라나
    • 217,800
    • -0.64%
    • 에이다
    • 960
    • +0.21%
    • 트론
    • 412
    • +1.73%
    • 스텔라루멘
    • 532
    • +9.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640
    • +1.11%
    • 체인링크
    • 20,470
    • -0.63%
    • 샌드박스
    • 388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