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입력 2025-06-13 15: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낚시의 고요한 순간, 맛집과 여행지에서의 특별한 경험까지. 단순한 취미를 넘어 소소한 행복과 잊지 못할 경험으로 연결되는 순간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레저로그인'을 통해 여가의 새로운 차원으로 로그인하세요.

▲낚시로 잡은 가물치. (사진= 진석기유튜브 채널화면 캡처.)
▲낚시로 잡은 가물치. (사진= 진석기유튜브 채널화면 캡처.)

“가물치가 첨벙하면 메사구(메기의 평안도 방언)도 첨벙한다.”

북한에서 내려오는 이 속담은 큰일이 벌어지면 작은 일들도 따라 요란해진다는 뜻입니다. 그만큼 가물치는 물속에서 ‘왕’ 같은 존재입니다. 한 번 몸을 튕기며 수면을 차고 오르면, 주변 물고기들은 물론 사람들까지 깜짝 놀랄 정도니까요.

이런 가물치가 요즘 들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왜냐고요? 벌써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여름 보양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계탕만큼이나 몸을 보하는 ‘기력 보충 음식’으로 오래전부터 사랑받아온 가물치 요리. 그리고 낚시꾼들의 심장을 뛰게 하는 손맛의 끝판왕, 바로 그 주인공이 가물치입니다.

민물의 최강자, 가물치의 생태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가물치는 우리나라의 하천, 저수지, 늪지 등지에 사는 민물고기입니다. 몸길이는 30~100cm 이상까지 자라며 성격이 아주 사나운 편이라 작은 물고기나 개구리, 심지어 작은 새까지도 사냥합니다. 무엇보다 특이한 점은 물속 산소가 부족해도 수면 위로 올라와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다는 것인데요. 덕분에 더운 여름철, 다른 물고기들이 힘들어할 때도 가물치는 씩씩하게 버텨냅니다.

이런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옛날부터 산모나 환자에게 가물치를 먹이면 회복이 빠르다는 말도 많았습니다. 지방은 적고 단백질은 풍부한 흰살생선이라 맛도 담백하고 소화도 잘되죠.

여름 보양식으로 최고, 가물치 요리

▲가물치 스테이크. (사진= 진석기유튜브 채널화면 캡처.)
▲가물치 스테이크. (사진= 진석기유튜브 채널화면 캡처.)

더운 날씨에 기운이 빠졌을 때 사람들은 삼계탕이나 장어만 떠올리기 쉬운데요. 진짜 고수들은 가물치를 찾습니다. 전라도, 경상도 지방에서는 특히 가물치찜이나 가물치탕이 여름철 단골 보양식입니다.

가물치찜은 고추장, 된장, 마늘, 생강 등을 넣고 푹 졸여내는데 매콤한 맛이 땀을 쫙 빼줘서 한 그릇 비우면 기운이 절로 난다고 합니다. 가물치탕은 한약재와 함께 푹 끓여내기 때문에, 산후조리나 회복기 환자용 식단으로도 유명하죠.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는 가물치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존재하는데요. 대표적으로 가물치 회, 가물치 곰탕, 가물치 황토진흙구이 등이 있습니다. 가물치는 지역 특산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물치 낚시, 그 짜릿한 손맛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가물치는 낚시꾼들 사이에서 ‘한 번 잡으면 잊지 못하는 손맛’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6~8월 장마철 직후 수온이 오르고 수초가 무성한 저수지나 연못이 최고의 포인트입니다. 물론 낚시 장비는 튼튼해야 합니다. 개구리 루어(프로그 루어)를 물 위에 던져 유혹하면 가물치는 순간적으로 튀어나와 입질하는데요. 줄은 합사줄(40~60lb), 릴은 강력한 베이트릴, 낚싯대는 하드 액션 타입이 좋습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이렇게 강한 포식자이자, 맛과 영양을 동시에 가진 민물고기 가물치이지만 무분별한 포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줄고 있어서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산 가물치의 보호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낚시할 때도 정해진 금지 기간과 규정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죠. 앞으로도 우리가 가물치를 오래도록 즐기고, 또 건강하게 자연 속에서 마주할 수 있으려면 지속 가능한 관심과 보호가 꼭 필요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파죽지세’ 비트코인, 12만3000달러도 넘어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단독 100만명 돌파한 ‘GS25 도어투 성수’, 2년 8개월 만에 ‘폐점’
  • 유통가, 15일 자정 ‘갤럭시 Z 플립7ㆍ폴드7’ 일제히 사전예약...어디서 사야 최대 혜택?
  • 이 대통령, 반려견 '바비' 소개…"자꾸 아내한테만 가서 서운"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4,674,000
    • +2.86%
    • 이더리움
    • 4,156,000
    • +3.49%
    • 비트코인 캐시
    • 696,500
    • +1.9%
    • 리플
    • 4,065
    • +7.74%
    • 솔라나
    • 226,300
    • +2.96%
    • 에이다
    • 1,015
    • +2.94%
    • 트론
    • 410
    • -0.24%
    • 스텔라루멘
    • 622
    • +8.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120
    • +1.35%
    • 체인링크
    • 22,010
    • +5.46%
    • 샌드박스
    • 434
    • +8.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