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22는 랩터⋯6세대 전투기 F-47은 부두(VooDoo)?

입력 2025-06-1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F-22 랩터 후속으로 등장할 F-47
스텔스 기능 강화⋯작전반경 확대
개발 때 '주술적 힘' 뜻하는 “부두”로 불려

▲1950년대 냉전 초기 미국 공군이 운용한 초음속 호위 전투기 F-101 부두(Voodoo)의 비행 모습. F-4 팬텀이 등장하기 전까지 하늘을 지배하던 주력 전투기였다. 미국의 6세대 전투기 F-47의 닉네임으로 F-101의 상징성을 계승한 '부두'가 유력하다.  (출처 U.S. Air Force)
▲1950년대 냉전 초기 미국 공군이 운용한 초음속 호위 전투기 F-101 부두(Voodoo)의 비행 모습. F-4 팬텀이 등장하기 전까지 하늘을 지배하던 주력 전투기였다. 미국의 6세대 전투기 F-47의 닉네임으로 F-101의 상징성을 계승한 '부두'가 유력하다. (출처 U.S. Air Force)

미국 공군이 개발 전략과 제작사(보잉)ㆍ사전 이미지 등을 공개한 차세대 공중지배 전투기 F-47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새 주력 전투기와 관련해 다양한 관측이 쏟아지는 가운데 "닉네임은 부두2(VooDooⅡ)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 개발단계에서도 “부두”로 불린다.

14일 미국 정치매체 악시오스를 비롯해 군사 매체 디펜스뉴스ㆍ에비에이션 위크 등에 따르면 F-47로 이름 지어진 미국 공군의 차세대 공중지배 전투기의 닉네임은 ‘부두Ⅱ’가 유력하다.

현재 미국 공군 주력 전투기는 세대별로 하이(High)와 로우(Low)급으로 양분해 운용 중이다. 상대 전력을 압도할 수 있는 주력 전투기가 하이급에 자리매김한다. 아랫급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1대당 가격이 낮은 전투기를 대량으로 도입해 운용한다. 하이급에는 쌍발 엔진을, 로우급에는 단발 엔진을 장착하는 게 하나의 계보처럼 이어지기도 한다.

4세대의 경우 우리 군에서도 운용 중인 F-15 이글이 하이급이다. 아랫급에는 F-16 파이팅팰콘이 자리 잡았다. 두 기종 모두 우리 공군도 운용 중이다.

본격적으로 스텔스 기능이 더해진 5세대의 경우 하이급에 F-22 랩터, 로우급에 F-35 라이트닝Ⅱ가 존재한다.

▲2025~2029년 사이 실전 배치를 위한 개발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F-47의 이미지. 아직 구체적인 외형은 공개되지 않았다.  (출처 U.S. Air Force)
▲2025~2029년 사이 실전 배치를 위한 개발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F-47의 이미지. 아직 구체적인 외형은 공개되지 않았다. (출처 U.S. Air Force)

6세대 하이급 전투기는 앞서 언급한 F-47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에서 2029년 사이 실전 운용을 위한 마지막 단계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로 아래 로우급 전투기는 개발이 진행 중이다. 개발 단계에서는 YFQ-42A(또는 YFQ-44A)로 불린다. 공군이나 해군ㆍ해병대 등에 특화한 버전이 공개될 것으로 점쳐진다. 6세대부터는 로우급에도 쌍발 엔진이 달릴 것으로 관측된다. 아직 구체적인 제식 명칭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F-55가 유력하다. 지난달 15일 트럼프 대통령이 카타르 방문 때 그렇게 말했다.

차세대 하이급 전투기 F-47 제식 명칭에는 다양한 해석이 뒤따랐다. 2차대전에 활약했던 P-47의 명성을 계승한 것이라는 설이 존재하는 한편, 미국 공군이 정식으로 창설된 1947년을 기념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발표하며 “47은 아름다운 숫자다”라고 말한 것도 또 하나의 해석을 낳았다. 트럼프가 미국 47대 대통령이다.

▲미국 공군이 지난달 SNS에 게제한 인포그래픽. F-47을 비롯해 로우급 다목적 전투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F-47은 현존 F-22보다 스텔스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작전 반경을 크게 확대한 게 특징이다.  (출처 U.S. Air Force)
▲미국 공군이 지난달 SNS에 게제한 인포그래픽. F-47을 비롯해 로우급 다목적 전투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F-47은 현존 F-22보다 스텔스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작전 반경을 크게 확대한 게 특징이다. (출처 U.S. Air Force)

아직 본격적인 실전 배치 이전인 만큼, 별도의 닉네임은 정해지지 않았다. 4세대 F-15(이글)와 F-16(파이팅팰콘) 때는 맹금류의 이름을 가져왔다. 5세대부터는 추상적인 이름을 가져다 썼다. F-22는 공룡 '랩터', F-35는 번개를 뜻하는 라이트닝(Lightning)이었다.

6세대 역시 유사한 형식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먼저 F-47의 닉네임으로 '부두(VooDoo)'가 점쳐진다. 사전적 의미는 ‘주술적인 힘’을 뜻한다. 그만큼 범접하기 어려운, 현존하는 전투기에서 상상할 수 없는 막강한 성능을 상징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항공전문매체 허쉬킷은 "F‑47 내부 식별명으로 '부두(Voodoo)'라는 이름이 언급된다"라면서 "과거 1950년대 초음속 폭격기 F‑101 부두의 명칭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어 "아직 미 공군이나 보잉 측에서 F‑47의 별칭을 공식화한 바는 없다"고 덧붙였다.

▲미국 공군이 공개한 F-47 이미지.  (출처 U.S. Air Force)
▲미국 공군이 공개한 F-47 이미지. (출처 U.S. Air Forc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725,000
    • +1.41%
    • 이더리움
    • 3,990,000
    • +1.12%
    • 비트코인 캐시
    • 690,500
    • -2.61%
    • 리플
    • 3,701
    • +2.55%
    • 솔라나
    • 217,700
    • +0.83%
    • 에이다
    • 959
    • +1.91%
    • 트론
    • 411
    • +2.49%
    • 스텔라루멘
    • 530
    • +1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440
    • +1.2%
    • 체인링크
    • 20,370
    • +0.05%
    • 샌드박스
    • 388
    • +1.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