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한강벨트’ 집값 더 뛴다⋯양극화도 지속 [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①]

입력 2025-06-0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동산 전문가 '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 주요 발언. (이투데이DB)
▲부동산 전문가 '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 주요 발언. (이투데이DB)

21대 대통령 선거 이후 부동산 시장 향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매매량 증가와 가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러한 회복세가 서울 핵심 입지에 그칠 것으로 판단했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선 이후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벨트(마포·용산·성동·광진구) 중심의 거래량 증가와 가격 오름세가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지방과의 가격 격차는 좁혀지기 어렵다고 봤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강남 3구와 용산 등 핵심 지역 위주의 제한적 회복과 국지적 강세 흐름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도 "강남 3구와 한강벨트는 매수 열기가 식지 않고 있어서 대선 이후에도 이러한 흐름이 꺾이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이는 서울과 수도권 핵심지에 한해 나타나는 것이고, 지방은 고전하면서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등 규제에 나서도 서울 핵심지 상승세를 꺾기 어렵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규제로 거래량이 줄어도 가격이 내려가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 소장 역시 "서울과 수도권은 규제가 강해져도 입주 물량 부족과 주택 경기 침체 장기화 영향으로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계속되면서 가격이 오를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규제 지역 추가 지정이 오히려 집값 상승을 부채질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 상남경영원 교수는 "토허제 지역에선 집값이 계속 오르는 상황이다"며 "신규 지정되면 집값은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의 집값 억제 효과도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과 수도권 주택시장 대출 문턱이 높아진 만큼 거래량은 감소할 것"이라며 "다만 가격은 새 정부 출범과 금리 인하, 공급 부족 우려 등으로 강보합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통적인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지역으로는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국제업무지구 일대가 꼽혔다. 여기에 1·3기 신도시 일부 지역과 과천·하남 등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지역도 거론됐다.

양 전문위원은 "강남·서초·송파는 토허제 지정 확대에도 불구하고 자산가 집중과 재건축 기대감이 맞물려 수혜가 예상된다"며 "용산은 한강 일대 개발 계획과 GTX-B·Y 밸리 등 미래 가치 기대감이 큰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천·하남·성남은 공급 부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인프라 우수, GTX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김 수석위원은 "재정비 관련 지역과 1기 신도시를 포함한 3기 신도시까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342,000
    • +0.3%
    • 이더리움
    • 3,571,000
    • +2.64%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1.47%
    • 리플
    • 3,184
    • +2.15%
    • 솔라나
    • 208,200
    • +1.66%
    • 에이다
    • 813
    • +3.04%
    • 트론
    • 392
    • -0.25%
    • 스텔라루멘
    • 363
    • +5.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780
    • +0.39%
    • 체인링크
    • 19,250
    • +6.18%
    • 샌드박스
    • 366
    • +10.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