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각지에서 시내버스 동시 파업이 예고되자, 정부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대응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전국 시내버스 파업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열고, 28일로 예고된 전국 시내버스 동시 파업을 대비한 비상수송대책과 인파 안전관리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토부와 행정안전부, 서울·부산·인천·광주·울산·경남 창원 등 6개 지방자치단체,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교통공사 등 총 16개 기관이 참여했다.
국토부는 각 지자체에 노사협상 결렬이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합의를 유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파업 기간에는 교통물류실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대응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관련 뉴스
행정안전부는 국토부와 지자체, 경찰, 교통공사 등과 함께 출퇴근 시간 지하철 역사 등에 ‘현장상황관리관’을 배치해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방침이다.
엄 실장은 “각 지자체는 가용할 수 있는 대체 교통수단을 최대한 확보해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이행하고 대중교통 이용에 혼선이 없도록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 달라”고 말했다.
김중렬 행안부 사회재난대응국장은 “출퇴근 시간 지하철 역사에 순간적으로 인파가 몰리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커 관계기관과 함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