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등에 대비해 공공비축을 고도화한다. 코로나19 당시 긴급 비축한 마스크도 엔데믹 이후 수요 급감을 고려해 비축 체계 효율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 주재로 이러한 내용의 비축전문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공비축 고도화 현황 및 계획 △부처별 2025년 비축사업 및 2026년 계획 △마스크 비축사업 효율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수립한 '2025~2027 공급망 안정화 기본계획'에 따라 공공비축 고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 품목 비축 목표일정 단축, 비축물량 확대 등에 나서는 한편 공급망 안정화 선도사업자 선정·민간기업 타소비축 지원 등 민관 협력을 통한 비축다변화·효율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타소비축이란 장기보관이 어려운 요소 등을 조달청이 구매해 수요 기업이 보관·사용하는 방식이다.
관련 뉴스
정부는 경제안보품목 위기 발생 가능성, 대응역량 등을 지속 점검하면서 신규·추가 비축 필요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핵심광물 확보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한 재자원화 원료도 신규 비축한다.
각 부처의 비축사업계획도 사전 논의해 비축 물품 중복·누락을 방지하고 공급망 기본계획·경제안보품목 연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2020년 코로나19를 계기로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돼 비축해온 마스크는 2023년 5월 팬데믹 종식(엔데믹) 이후 마스크 수요 급감 상황을 고려해 비축 효율화를 위한 비축 체계 재구조화에 나선다.
정부는 마스크 목표 비축량 탄력 운영, 관계기관 실무협의체 가동, 연간구매계획 수립·연간공급계약 방식 도입, 잔여 유통기한·사용목적에 따른 방출 가격 차등화 등을 통해 감염병 위험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마스크 비축 전 주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비축은 단순한 재고 관리가 아닌 공급망 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중심축"이라며 "경제안보와 국민 안전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이자 미래 성장동력 확보 기반을 구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