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지·전자제품 내장전지 일괄 수거…분리배출 불편 해소

정부가 건전지부터 전자제품 내장 이차전지까지 모든 전지류 회수 체계를 통합한다. 현행 일·이차전지 분리배출 체계의 비효율성, 수거 지연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를 완화하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취지다.
환경부는 21일 서울 중구 엘더블유컨벤션에서 한국환경공단,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이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러한 내용의 '전지류 통합회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건전지, 리튬일차전지 등 일차전지류는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건전지 수거함을 통해 배출 후 비정기적으로 회수되며 전자제품에 내장된 리튬이차전지는 이순환거버넌스가 자체 운영하는 무상 방문 수거, 전자제품 이동식 수거함 등을 통해 상시 회수되는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간 일차와 이차전지류는 외형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아 분리배출이 어렵고, 일차전지류는 회수 주기가 길어 수거함이 장기간 방치돼 오염물질 누액, 화재 등 안전사고 우려가 제기돼 왔다.
관련 뉴스
이번 협약을 통해 이순환거버넌스와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는 통합회수 체계를 구축하고 전자제품 상시 회수 체계를 활용해 건전지, 전자제품 내장 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폐전지를 신속 회수할 방침이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전지류 통합회수 추진위원회'를 설치하고 관련 제도 개선 및 행정 지원을 총괄할 계획이다.
업무협약 참여 기관들은 유동 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대형마트 등 다중이용시설 등을 중심으로 일·이차전지류를 일괄 배출할 수 있는 통합 수거함 1000개를 추가 설치해 전지류 배출 편의성을 높인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민은 일·이차전지 구분 없이 기존 공공주택 등에 설치된 건전지 수거함, 전자제품 이동식 수거함 등에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세탁기, 냉장고 등 대형 제품 무상방문 수거 시에도 전지류 배출이 가능하다.
환경부는 통합회수 체계 도입으로 수거 지연에 따른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뿐 아니라 배출 편의성, 회수효율이 동시에 높아져 전지류 재활용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민 누구나 전지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쉽게 배출할 수 있는 회수 체계를 현장에 정착시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지류 자원순환 체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