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합의, 트럼프 美 경제적 고통 인정한 셈”
인도 “대미 관세 100% 인하 판단 시기상조”
일본, 협상 타결 기한 6→7월로 미룬 듯
베선트 “선의로 임하지 않으면 상호관세 복귀”

중국의 호전적인 태도가 미국과의 관세 휴전으로 귀결되자 세계 각국에서 자국의 유화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미국과 중국의 협상을 지켜본 각국 당국자들은 중국의 강경한 협상 전술이 일시적이긴 해도 유리한 합의를 끌어낸 데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애초 145%에 달했던 대중 관세율을 대폭 양보하자 외교적인 대응보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확신이 싹트기 시작했다.
미국 무역협상 담당자를 지냈으며 현재 싱가포르 싱크탱크 ISEAS-유소프이샥연구소 객원 선임 연구원인 스티븐 올슨은 “미·중 관세 합의는 협상의 역학을 바꾼 사건”이라며 “많은 국가와 지역이 스위스 제네바 협상 결과를 보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이 과하게 행동했음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르코 파픽 BCA리서치 지오매크로 수석전략가도 “많은 국가가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하는 올바른 방법은 굳건히 서서 침착함을 유지하며 항복하도록 강요하는 것임을 중국 사례로 배웠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양국의 화해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로 인한 국내 경제적 역풍 압력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로버트 수바라만 노무라홀딩스 글로벌 시장 리서치 책임자는 “미국에서 관세로 인한 경제적 고통은 더 즉각적이고 광범위하다”며 “이번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그 점을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이에 따라 각국 당국자들은 공개적으로 강공법을 택하겠다는 신호를 보내지는 않았지만, 예상보다 더 많은 카드가 존재하며 협상 속도를 늦출 여력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됐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일례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0% 없앨 준비가 됐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수브라흐마냐무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장관은 “이에 대한 판단은 시기상조”라며 온도 차를 보였다. 일본은 애초 6월 미국과의 합의를 목표로 했지만 최근 들어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둔 7월에 타결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현지 보도가 나오고 있다. 일본 당국자들이 신속하게 일을 마무리 짓기 위해 큰 양보를 감내하는 것보다는 시간을 들여 해결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미국 관리들조차 협상이 더 오래 걸릴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 일본과의 협상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유럽연합(EU)의 단결력 부족이 협상을 방해하고 있다”며 “미국과 유럽이 조금 더 느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경제 규모가 크고 미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낮은 국가만이 강경한 전술로 대응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카트리나 엘 무디스애널리틱스 아시아·태평양 경제 책임자도 “중국은 미국에 대한 영향력이 커서 미국이 강경한 입장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지만 다른 많은 국가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싱가포르국립대 교수이자 전 세계은행(WB) 중국 담당 국장을 지낸 버트 호프만은 “대부분 국가가 미국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움직임을 의식한 듯 강경한 발언을 내놓았다. 그는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선의로 협상에 임하지 않으면 4월 2일 발표했던 상호관세로 복귀할 것”이라며 “현재 18개 주요 무역 파트너와 협정 체결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