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빅텐트’ 요원...국힘 “지지율부터 올려야” 이준석 “단일화로 이재명 못막아”

입력 2025-05-19 11: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를 마친 후 인사하고 있다. 2025.05.19.  (뉴시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를 마친 후 인사하고 있다. 2025.05.19. (뉴시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을 탈당하면서 ‘반(反)이재명’ 보수 빅텐트에 동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국민의힘부터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예상치 못한 지지율 부진에 빅텐트는 뒷순위로 밀린 것으로 보인다.

윤재옥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은 1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빅텐트’라 하면 대선 후보끼리 연대가 돼야 빅텐트가 의미 있다”며 “(지금은) 조금 더 지지율을 올려야 한다. 지지율을 올려야 우리가 합쳤을 때 이길 수 있다는 지지율이 돼야 협상이 가능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일단은 빅텐트를 쳐서 이겨야 한다는 생각이 있지만,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올리는 게 선결과제라 생각해 그에 매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윤 본부장은 “하루에 지지율을 1%씩 올려서 사전투표 전에 골든크로스를 이루겠다는 게 선대위의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 쪽 지지자들은 유동층까지도 결집돼있고, 우리는 계엄과 탄핵을 거치면서 실망한 유동층들이 이탈했다”며 “이 선거가 가진 의미와 권력 독점으로 인한 폐해, 우리 후보가 살아온 삶의 과정이나 이력, 공직생활을 하면서 성과를 냈던 부분들을 상대 후보와 대비해 홍보하면 분노가 좀 누그러질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이 연일 빅텐트를 주장하며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향해 손짓했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김용태 비대위원장도 이관 관련해 “앞으로 대선 과정에서 여러 상황을 고려해 적절한 시기에 (이 후보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이 후보는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연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후보 단일화에 대해 “지금 개혁신당이 담보하고 있는 젊은 세대의 표심과 미래 지향적 유권자의 표심을 빼고는 이재명을 막아낼 방법이 없다”며 “개혁신당을 지지하는 젊은 유권자들이 결코 동의하지 않는 단일화로는 절대 막아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219,000
    • -3.12%
    • 이더리움
    • 3,056,000
    • -9.13%
    • 비트코인 캐시
    • 620,500
    • -6.9%
    • 리플
    • 2,753
    • -5.88%
    • 솔라나
    • 180,900
    • -6.66%
    • 에이다
    • 738
    • -7.29%
    • 트론
    • 366
    • -4.69%
    • 스텔라루멘
    • 312
    • -6.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10
    • -3.89%
    • 체인링크
    • 15,820
    • -8.13%
    • 샌드박스
    • 318
    • -5.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