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통상협상에 이견…李 “조기타결 필요없다” 金 “바로 정상회담”

입력 2025-05-18 22: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조현호 기자 hyunho@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조현호 기자 hyunho@

18일 열린 경제 분야 대선 토론에서 후보들은 한미 통상 협상을 두고 각자의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취임 후 즉각 한미 정상 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국익 중심”이라며 “미국도 (협상에서) 요구하는 게 많겠지만 그걸 반드시 100% 관철하겠다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가 맨 먼저 나서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어 “통상 협상을 잘하되 향후에 수출 시장이나 수출 품목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고, 특히 경제 영토를 넓히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각별히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며 “내수 비중을 이제는 좀 서서히 높여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신뢰”라고 말했다. 그는 “서로 믿을 수 있을 때만이 한미 동맹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며 “이런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당선되면 바로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주한미군 문제, 북한 핵 대응 문제, 중국과의 관계, 러시아·우크라이나 문제 등을 언급하며 “한국과 미국 사이엔 여러 측면에서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신뢰를 바탕으로 관세 문제나 이런 문제를 관세 유예 종료 전에 성공적으로 끝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상대가 거칠수록 냉정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국익은 감정이 아니라 치밀한 계산 위에서 세워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우리 대한민국은 미국의 안보 전략에 지속적으로 기여한 국가”라며 “우리는 한미 양국이 단순한 교역국이 아니라 안보와 전략을 공유하는 우방국이라는 인식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은 단순한 관세가 아니라 약탈”이라며 “이건 통상이 아니라 우리 경제 자주권에 대한 침략”이라고 비판했다. 권 후보는 그러면서 “미국 눈치를 보며 머리를 조아리고 조공을 바칠 궁리나 하는 정부에겐 미래가 없다. 세계의 노동자들과 함께 트럼프와 맞서야 한다”며 “여러 나라와 연대해 다자외교를 펼쳐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900,000
    • +0.82%
    • 이더리움
    • 3,594,000
    • +2.83%
    • 비트코인 캐시
    • 623,500
    • +0.81%
    • 리플
    • 3,111
    • +3.8%
    • 솔라나
    • 214,100
    • +5.31%
    • 에이다
    • 887
    • +1.95%
    • 트론
    • 383
    • +1.32%
    • 스텔라루멘
    • 363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020
    • -1.1%
    • 체인링크
    • 18,800
    • +3.52%
    • 샌드박스
    • 371
    • +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