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EBRD, '지식공유 협력 MOU' 첫 개정

입력 2025-05-1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지성 기재부 국장, EBRD 연차총회 계기 부총재 면담
26~30년 전략·자본 프레임워크·25~27 전략계획 채택
EBRD 총재 "우크라 지원, EBRD 핵심 우선순위 유지"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한국과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EBRD 수원국가 대상 지식공유 지원을 위한 양측의 '지식공유 협력 양해각서'를 9년 만에 처음으로 개정했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4~15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4차 EBRD 연차총회를 계기로 정부 대표인 문지성 기재부 개발금융국장은 마크 보우만 EBRD 정책·파트너십 부총재를 만나 이러한 내용의 '한-EBRD 지식공유 협력 MOU' 개정에 서명했다.

해당 사업은 한국의 정책 경험을 EBRD 지원국에 전수하는 내용으로, 2016년 7월 관련 MOU 체결 이후 첫 개정이다. 개정안에는 첨단기술 분야 등 다양한 신규 협력 수요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문 국장은 보우만 부총재에게 한국 측 신탁기금 성과평가 체계를 설명하고 EBRD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한나 미들리-로버츠 EBRD 인사국장에게는 "한국 국적의 고위직 및 한국인 채용 확대가 필요하다"며 올해 하반기 개최 예정인 국제기구 채용설명회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한편 '외연을 넓히고 강점을 지속하다'(Expanding Horizons, Enduring Strengths)라는 주제로 열린 EBRD 연차총회에선 2026~2030년 5개년 동안의 주요 정책 방향인 '전략 및 자본프레임워크'와 세부 이행 계획인 '2025~2027년 전략이행계획'이 채택됐다.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 국가인 베냉,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 등까지 지원 외연을 넓히는 데도 합의했다.

각 회원국 대표는 새로운 전략 및 자본프레임워크, 우크라이나 지원·재건, EBRD 지원지역 확장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오딜 르노-바소 EBRD 총재는 "이번에 발표된 프레임워크는 2023년 자본 증자 시 회원국과 논의한 내용을 반영한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EBRD 핵심 우선순위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국장은 새 프레임워크 이행을 위한 △기후 중심 경제체제 전환을 위한 민자 적극 유치·디지털 기술 적극 활용 △국가 경제 투명성·효율성 제고를 위한 선진국 제도 적극 도입 △은행 투자·프로젝트 목표 달성 정도를 측정하는 평가체계 중요성 및 지원국 역량 강화 등을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내수부터 살리자” 車 업계, 할인러시…개소세 인하 연장 목소리도
  • 희토류 물꼬 튼 G2…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도 풀릴까
  • 실용주의 정책·한중 해빙 무드...K뷰티, 中 시장 재공략 기대감 고조[이재명 정부 유통산업 전망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장마 시작, 진짜 여름이 온다…올해 장마는 얼마나 빠를까?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0: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600,000
    • -4.06%
    • 이더리움
    • 3,490,000
    • -8.73%
    • 비트코인 캐시
    • 562,500
    • -4.66%
    • 리플
    • 2,942
    • -5.83%
    • 솔라나
    • 201,400
    • -9.12%
    • 에이다
    • 876
    • -8.94%
    • 트론
    • 373
    • -2.86%
    • 스텔라루멘
    • 357
    • -6.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30
    • -8.71%
    • 체인링크
    • 18,200
    • -10.87%
    • 샌드박스
    • 358
    • -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