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미·중 화해 훈풍에 상승 지속…다우 0.78%↑

입력 2025-05-17 06: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2일(현지시간) 한 트레이더가 작업하면서 미소를 짓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2일(현지시간) 한 트레이더가 작업하면서 미소를 짓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가 16일(현지시간) 미·중 데탕트 훈풍에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331.99포인트(0.78%) 상승한 4만2654.74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41.45포인트(0.70%) 뛴 5958.38에, 나스닥지수는 98.78포인트(0.52%) 오른 1만9211.10에 거래를 끝냈다.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에도 중국과의 무역 합의에 따른 낙관적 전망에 힘입어 강세를 이어갔다. 미국과 중국은 이번 주 서로의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전주에는 미국과 영국이 무역협정을 체결하기로 했다. 관세 협상이 진전되면서 세계 경제가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후퇴한 것이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향후 2~3주 안에 관세율을 전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구체적인 세율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악재로 보는 움직임은 제한적이었다.

전날까지 연일 하락했던 유나이티드헬스그룹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다우지수를 끌어올렸다. 유나이티드헬스는 이날 6.40% 상승 마감했다. 아트 호건 B.라일리웰스매니지먼트 수석 시장 전략가는 “단기적으로 과매도된 것으로 본 투자자들이 매수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미국 최대 건강 보험사인 이 회사는 이번 주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하고 올해 2025년 수익 가이던스를 철회한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전날에는 메디케어(노인 공공 의료보험) 사업과 관련해 법무부 조사를 받고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가 전해졌다.

소비 둔화 우려는 주가의 상승 폭을 제한했다. 이날 미시간대가 발표한 5월 미국 소비자태도지수(속보치)는 50.8로 2022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년 후 예상 인플레이션율은 7.3%로 전달(6.5%)보다 상승해 미국 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 소비가 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커졌다. 호건 전략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를 뺀 모든 업종이 올랐다. 필수소비재, 의료건강, 산업, 부동산, 유틸리티주가 1% 넘게 뛰면서 강세장을 주도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9포인트(3.31%) 내린 17.24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이스라엘, 이란 공습 소식에 국제유가 7% 급등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내수부터 살리자” 車 업계, 할인러시…개소세 인하 연장 목소리도
  • 희토류 물꼬 튼 G2…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도 풀릴까
  • 실용주의 정책·한중 해빙 무드...K뷰티, 中 시장 재공략 기대감 고조[이재명 정부 유통산업 전망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2: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99,000
    • -2.25%
    • 이더리움
    • 3,485,000
    • -8%
    • 비트코인 캐시
    • 561,500
    • -4.51%
    • 리플
    • 2,956
    • -4.24%
    • 솔라나
    • 200,700
    • -8.81%
    • 에이다
    • 880
    • -7.47%
    • 트론
    • 376
    • -1.05%
    • 스텔라루멘
    • 358
    • -5.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80
    • -7.31%
    • 체인링크
    • 18,330
    • -9.12%
    • 샌드박스
    • 362
    • -6.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