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연금특위)가 휴식기에 들어갔다. 특위 논의는 대선 후 국정과제 윤곽이 드러난 이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연금특위는 지난달 30일 제2차 전체회의를 끝으로 활동을 중단했다. 대선 선거운동 기간 생산적인 논의가 어렵고, 대선 결과 및 국정과제 내용에 따라 연금개혁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 대선 후 논의를 재개하기로 했다.
다만, 연금특위 내에선 대선 이후에도 논의가 진전되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외면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특위에서 활동하는 의원들 간 의견을 정리하지 못해서다. 대선 후보들의 연금개혁 관련 공약도 추상적이다.
민주당은 일찍부터 ‘국고투입’을 연금 구조개혁 논의의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재명 대선 후보는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와 크레딧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놨고, 연금특위 내 민주당 의원들은 보험료율 억제와 연금급여 유지를 목적으로 한 국고투입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 모두 국민연금 기금과 정부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거리가 먼 방식이다. 국민의힘과 김문수 대선 후보는 지난해 정부가 제시한 ‘자동조정장치’ 도입과 청년 참여 확대 외에 뚜렷한 방향성이 없다. 기금·재정 부담을 미래세대에 떠넘기는 국고 투입론에 어떻게 대응할지도 마찬가지다.
관련 뉴스
이런 상황에선 논의가 재개돼도 제대로 된 구조개혁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연금특위에서 민주당 의원들은 노동·시민단체 등 집단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단일한 목소리를 내왔다. 반면, 국민의힘은 애초에 여·야 지도부 간 합의로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된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의원들 중심으로 구성돼 공통의 의견이 없다. 국민의힘 측 연금특위 관계자는 “특위 내 국민의힘 의원들 간에도 이견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미적립부채 청산 등 지속가능성 제고 없이 적립금 소진 시점만 미루는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3%’ 개정안도 이런 구도에서 나왔다. 21대 소득보장 측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뭉쳤지만, 재정안정 측은 통일된 안이 없었다. 그 결과, 모수개혁은 소득보장 측이 제시한 안에서 소득대체율만 조정하는 데 그쳤다. 당시 연금특위에서 여·야 의원 간, 연금특위 민간자문위원회에서 소득보장 측과 재정안정 측 전문가 간 구도가 모두 이런 형태였다.
한편, 연금특위는 대선 후 제3차 전원회의에서 민간자문위원회 구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21대 국회에서 민간자문위원으로 활동했던 한 전문가는 “연금특위 자체는 기울어진 운동장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균형을 맞추려면 민간자문위원회라도 이념보단 전문성을 중심으로 가치 중립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