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자 손실 집중…풍문유포·이상매매 집중 감시

금융당국이 정치테마주의 과열 현상과 이로 인한 투자자 피해 우려에 대응해 전방위 감시 체계 가동에 나선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13일 정치테마주 관련 2차 실무회의를 열고 허위 풍문 유포 및 이상매매 행위에 대시장감시 및 불공정거래 조사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치테마주는 특정 정치인과 연관된 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실적과는 무관한 비정상적인 가격 상승이 대부분으로, 대다수 종목이 고점 대비 급락세를 보이며 개인 투자자의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금감원과 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정치테마주 60개 종목 중 72%가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86.9%에 달해 시장 전체 개인 비중(66.6%)을 크게 웃돌며 실질적인 피해가 개인에게 집중되고 있다. 실제 최근 한 달간 개인들이 집중적으로 매수한 42개 테마주에서 매매차익 분석 결과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추천 뉴스
일부 종목은 장기간 적자를 기록했음에도 주가수익비율(PER)이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시장 평균을 크게 상회할 정도로 고평가돼 있다. 금감원이 지난 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테마주 평균 영업이익률은 1% 수준에 불과하지만 PBR은 2.3배로 코스피 평균의 3배 수준, 일간 주가 변동성도 3.3%로 시장 평균의 3배에 달했다.
금감원과 거래소는 이 같은 시장 과열 현상과 불공정거래에 대응하기 위해 상시 협업 채널을 가동 중이다. 지난달 29일 1차 실무회의에 이어 이번 2차 회의에서도 조사공조 체계 구축, 이상매매 탐지 강화, 사전 예방조치 확대 등을 논의했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에 대해 △시장경보종목 지정 △조회공시 요구 △시장교란행위 기획감시 등을 통해 과도한 주가 상승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 금감원도 △풍문 생성 및 유포 행위 △허수 주문 등 이상매매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내세워 신속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금감원은 특히 SNS나 증권 포털 게시판을 통한 정치인 연루 허위정보 확산, 상한가 굳히기 등의 통정매매 등 작전성 의심 거래에 대해 집중 감시에 돌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치테마주는 실적이나 기업 가치와 무관하게 주가가 급등락해 예측이 어렵고, 결국 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투자자들은 풍문에 의존한 추종매매를 자제하고 기업의 본질가치를 기준으로 한 신중한 투자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