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국토지리정보원과 맞손…국가 공간정보 생태계 활성화 시동

입력 2025-05-14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네이버·네이버랩스와 국토지리정보원, 국가 공간정보 활용 및 공간정보산업 활성화 위해 협력
네이버 '공간지능' 기술, 국가 데이터 만나 사용자 편익 높이고 공간정보 생태계 활력 불어넣는다

▲(왼쪽부터) 네이버 최승락 부사장, 국토지리정보원 조우석 원장 네이버랩스 이동환 부사장이 13일 국토지리원에서 국가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네이버-네이버랩스-국토지리원 업무 협약식을 진행했다.  (사진제공=네이버)
▲(왼쪽부터) 네이버 최승락 부사장, 국토지리정보원 조우석 원장 네이버랩스 이동환 부사장이 13일 국토지리원에서 국가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네이버-네이버랩스-국토지리원 업무 협약식을 진행했다. (사진제공=네이버)

네이버의 고정밀 매핑 기술이 국가 공간정보 산업 혁신에 기여하며 국내 공간정보산업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국토지리정보원과 국가 공간정보 활용 및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공간정보 기반 기술 고도화 및 국민 편의 증진을 위한 생활밀착형 서비스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토지리정보원이 보유한 공간정보와 네이버랩스의 디지털트윈 기술, 네이버 지도의 플랫폼 역량을 결합해 공간정보 서비스를 혁신하고 민관 협력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3자는 공간정보협의체를 구성하고,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증진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 사진, 위성/정사 영상, 3차원 공간정보, 실내 공간 정보 등 국가 공간정보와 네이버랩스의 도시 단위 디지털트윈 솔루션 등 첨단 공간지능 기술이 결합되면서 국가 공간정보의 정밀도와 위치 정확도는 물론, 데이터 확장성도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고품질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고 네이버 지도 플랫폼을 통해 3차원 지도, 실내외 통합 경로 안내 등 실생활에 밀접한 서비스까지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과 편의성을 혁신할 계획이다.

국토지리정보원과 네이버랩스, 네이버는 공간정보가 국가 기술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인프라인 만큼 공간정보 분야의 민관 협력 기반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활성화하는데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공공기관, 연구기관, 스타트업 등 다양한 주체가 공간정보를 보다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구개발(R&D)과 기술 확산을 위한 지원도 추진한다. 이로써 스마트시티, O2O, 자율주행, 디지털트윈, AR/VR 등 대표적인 미래 산업 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고정밀 지도 데이터는 미래 혁신산업의 핵심 인프라인 만큼 글로벌에서 인정받는 고정밀 매핑 기술을 보유한 네이버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지도 구축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이번 협력은 위치 및 장소 정보 최신화, 연계 서비스 발굴 등 민간에서의 투자와 노력이 국내 공간정보산업 전반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국토지리정보원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네이버가 보유한 지도 플랫폼과 공간지능 기술들이 더욱 혁신적인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대표 인터넷 플랫폼 기업으로서 꾸준히 연구하고 축적해 온 기술들이 사용자 편익과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120,000
    • +0.57%
    • 이더리움
    • 3,582,000
    • -1.84%
    • 비트코인 캐시
    • 610,000
    • +3.48%
    • 리플
    • 2,982
    • -1.32%
    • 솔라나
    • 205,800
    • -2.19%
    • 에이다
    • 890
    • -2.31%
    • 트론
    • 376
    • +0%
    • 스텔라루멘
    • 363
    • -1.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30
    • +0.02%
    • 체인링크
    • 18,600
    • -3.68%
    • 샌드박스
    • 370
    • -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