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기밀 유출 혐의’ 文정부 안보라인 재판 시작…檢 “증거목록 2만쪽 분량”

입력 2025-05-13 17: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검찰 “서주석, 사드 관련 국방부 내 사실상 결정권자”
법원, 2차 공판준비기일 6월 11일 오후 3시로 지정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이 2월 1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에 대해 징역형 선고 유예 선고를 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이 2월 1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에 대해 징역형 선고 유예 선고를 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늦추고자 군사작전 정보를 외부에 유출했다는 의혹을 받는 문재인 정부 안보 인사들의 재판이 시작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우인성 부장판사)는 13일 오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등 혐의를 받는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 정경두 전 국방부 장관, 서주석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의 1차 공판준비기일을 열었다.

공판준비기일은 재판 본격 시작에 앞서 쟁점과 증거 등을 정리하는 날이다. 피고인 출석 의무는 없어 이들은 법정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검찰은 “서 전 차장이 당시 차관이었지만 국방부 내에서 사드 체계와 관련된 현안을 사실상 주도했다”며 “이런 정황이 여러 문건과 국방부 관계자 진술에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반면 서 전 차장 측은 공소장 내용 중 사실관계가 다른 부분이 있다고 주장했다. 재판부가 ‘수송 작전 하루 전에 정보를 사드 반대단체에 알려주기로 했다는 게 맞느냐’고 묻자 “구체적인 경위가 다르기 때문에 의견서로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

검찰은 이날 증거목록을 제출하며 “기밀로 지정된 증거가 많아 분류작업에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총 2만 페이지에 달하는 증거목록 중 3분의 2는 법원 결정이 있어야 피고인 측 열람등사가 가능하다”며 “열람등사를 제한하지 않은 7000페이지에 해당하는 부분 먼저 신속히 기일을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변호인은 “기밀인 부분을 알지 못해서 사건의 본질을 알 수 없다”며 “열람복사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 같아 충분한 시간을 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재판부는 공판준비기일을 한 번 더 열기로 하고, 다음 기일을 내달 11일 오후 3시로 정했다.

서 전 차장은 2018년 4월 국방부 차관 재직 당시 2회, 2020년 8월부터 2021년 4월까지 국가안보실 1차장 재직 중 6회 등 총 8회에 걸쳐 공사 자재 반입 및 사드장비 반입과 관련된 군사 작전정보를 사드 반대단체에 알려주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정 전 실장과 정 전 장관도 2020년 5월 29일 당시 국방부 지역협력반장에게 사드 기지의 유도탄 등을 교체하는 내용의 군사 비밀을 사드 반대단체에 알려주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정 전 실장과 정 전 장관, 서 전 차장, 이기헌 전 대통령비서실 시민참여비서관 등 4명을 군사기밀법 위반 및 직권남용 등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달 8일 정 전 실장과 정 전 장관, 서 전 차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코레일, 오전 9시부터 열차 운행 재개⋯교외선은 복구ㆍ점검 후 재개
  • LG유플러스, AWS 손잡고 AI ‘익시젠’ 글로벌 시장 도전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서울 강남 소형 아파트 '40억' 찍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633,000
    • +0.01%
    • 이더리움
    • 5,039,000
    • +2.48%
    • 비트코인 캐시
    • 715,000
    • +1.63%
    • 리플
    • 4,705
    • -0.8%
    • 솔라나
    • 244,600
    • +0.7%
    • 에이다
    • 1,154
    • +1.67%
    • 트론
    • 437
    • -1.35%
    • 스텔라루멘
    • 637
    • +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460
    • +5.75%
    • 체인링크
    • 25,750
    • +3.66%
    • 샌드박스
    • 454
    • +2.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