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지역중소기업 정책 체계화 방안 논의

입력 2025-05-1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소벤처기업부 현판.  (뉴시스)
▲중소벤처기업부 현판. (뉴시스)

중소벤처기업부는 13일 스페이스웨어 서울역센터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지역혁신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중기부는 올해 초부터 ‘지역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 학계 전문가와 혁신적 정책방향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로 ‘지역거점별 신산업 기반의 AI 제조혁신 공급망 구축’과 ‘미래산업 대응 및 지속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정책 방향’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복합적 구조 변화 속에서 지역의 자생력 확보와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정종석 GIP 전략연구소 소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쟁력과 혁신역량 격차가 지속 확대돼 지방소멸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거점별 신산업 기반의 AI 제조혁신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고 제안했다.

그는 “AI 기술과 10대 미래먹거리 산업 간 융합을 통한 혁신제조생태계 조성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약 3만 개의 지역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정 소장은 “중기부를 포함한 범부처의 예산과 정책수단이 집중적으로 투입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김상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지역중소기업혁신팀장이 ‘미래산업대응과 지역 지속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제언’을 주제로 두 번째 발제를 진행했다.

김 팀장은 “지역 중소기업은 지역 고용의 중심이며 산업 생태계 유지와 균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정부, 대학, 혁신기관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 주도의 자립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지역의 혁신 역량 저하와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앵커 기업 육성을 위해 중기부 주도의 기업 성장 중심 정책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역 중소기업의 R&D 역량 강화와 범부처 연계를 위한 정책 네트워크 확립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

노용석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은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지역균형발전과 지역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후속 정책 설계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 직접 때렸다…트럼프 “핵시설 3곳 성공적 공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용준형, 소속사와 갈등 폭로⋯"갑자기 나가라, 십몇억 내놓으라고 해"
  • 박영규 아내, 25세 연상 남편에 호감 느꼈던 순간⋯"팔에 털이 많아, 남성미 있어"
  • [가보니] “통신사 바꾸길 잘했어요”…KT ‘전시 혜택’에 고객 몰렸다
  • “1분당 2550병, 자동화로 청정수 생산”⋯10주년 맞은 ‘백산수 스마트팩토리’ 가보니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512,000
    • -0.34%
    • 이더리움
    • 3,190,000
    • -5.62%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92%
    • 리플
    • 2,891
    • -2.3%
    • 솔라나
    • 189,900
    • -2.81%
    • 에이다
    • 778
    • -4.42%
    • 트론
    • 381
    • +0.53%
    • 스텔라루멘
    • 330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00
    • -2.48%
    • 체인링크
    • 16,820
    • -4.49%
    • 샌드박스
    • 332
    • -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