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41주년 풀무원 “풀무원다움으로 글로벌 지속가능식품기업 제2의 도약”

입력 2025-05-12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2일 강남 수서 본사서 창사 41주년 기념식⋯신경영선언 선포

▲12일 서울 강남 수서 본사에서 열린 풀무원 창사 41주년 기념식에서 이우봉 총괄CEO(사진)가 창사 기념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번 창사 기념식에는 이우봉 총괄CEO를 비롯한 경영간부직과 전사의 젊은 직원 대표들이 현장 참석했으며, 그 외 임직원들은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참석했다. (사진제공=풀무원)
▲12일 서울 강남 수서 본사에서 열린 풀무원 창사 41주년 기념식에서 이우봉 총괄CEO(사진)가 창사 기념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번 창사 기념식에는 이우봉 총괄CEO를 비롯한 경영간부직과 전사의 젊은 직원 대표들이 현장 참석했으며, 그 외 임직원들은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참석했다. (사진제공=풀무원)

풀무원이 창사 41주년을 맞아 글로벌 넘버원(NO.1) 지속가능식품기업으로 제2의 도약을 선언했다. ‘풀무원다움’을 통해 신성장 모멘텀을 창출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는 12일 서울 강남 수서 본사에서 열린 창사 41주년 기념식에서 “1984년 작은 유기농 식품기업에서 출발한 풀무원은 바른먹거리 가치를 뿌리내리며 연 매출 3조원이 넘는 한국의 대표적 지속가능식품기업, 한국 최고의 ESG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향후 더 큰 도약을 위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모멘텀을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풀무원이 이날 발표한 신경영 선언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풀무원의 지속가능한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련된 경영전략이다. 신경영 선언은 △‘창업가 행동양식’에 기반한 조직 혁신 △바른 마음과 변화 주도, 동반성장에 방점을 둔 핵심가치 재정의 △‘풀무원다움’을 반영한 BIS(Brand Identity System) 정립을 통한 브랜드 경쟁력 강화 등이 골자다. 또한 풀무원은 올해 핵심경영 과제로△지속가능식품 확장 △글로벌 시장 확대 △ESG 경영 강화 △푸드테크를 통한 미래 대응 등 4가지를 정했다.

이 총괄CEO는 “오늘 선포한 신경영 선언은 우리의 헤리티지(Heritage)와 정체성이 담긴 경영전략”이라며 “풀무원이 늘 ‘최초’라는 타이틀로 대한민국 식품 산업의 선구자적 역할을 해왔듯 미래 ‘백년 기업’을 향한 가슴 벅차고 희망찬 도전의 여정에 조직원 여러분의 아낌없는 지지와 뜨거운 열정을 함께해 달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예스24, 전 회원에게 상품권 5000원ㆍ크레마클럽 무료 30일 제공
  • 트럼프 “G7 조기 귀국, 이란·이스라엘 휴전과 관련 없어…그보다 훨씬 큰 문제”
  •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K-원전' 위상도 쑥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⑦]
  • 인형 사려고 몸싸움까지…'라부부 재테크', 시작해도 될까요? [이슈크래커]
  • 단독 지난해 경력변호사→검사 임용 10배 늘었지만…‘경력직’도 퇴직 러시 [검찰, 어디로]
  • “북미 전력 공급량 급증”…전력 기기 시장도 활황 [AI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中]
  • 소비자 만족도 최고는 '새벽 배송'…'결혼서비스'가 최악인 이유는? [데이터클립]
  • 티빙+웨이브 통합 요금제 출시…진짜 ‘하나’가 된 걸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55,000
    • -1.84%
    • 이더리움
    • 3,527,000
    • -2.97%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62%
    • 리플
    • 3,048
    • -2.9%
    • 솔라나
    • 207,000
    • -3.86%
    • 에이다
    • 862
    • -3.79%
    • 트론
    • 381
    • -1.04%
    • 스텔라루멘
    • 356
    • -2.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60
    • +1.56%
    • 체인링크
    • 18,300
    • -3.68%
    • 샌드박스
    • 362
    • -3.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