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랄프로렌·칼하트 등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 주의보”

입력 2025-05-09 1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 유도…소비자 환불 요구에 무응답

▲사기사이트에서 판매중인 의류 상품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사기사이트에서 판매중인 의류 상품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유명 의류브랜드를 과도하게 할인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한 후 제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환불해주지 않는 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피해가 다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와 협력하여 유명 의류브랜드 사칭에 따른 소비자 피해사례 46건을 확인하고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사기사이트의 국내 접속을 차단했다고 9일 밝혔다.

접수된 상담 46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90% 이상(43건)이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해외쇼핑몰에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기사이트는 브랜드명을 사용하여 인터넷 주소(URL)를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만들고, 브랜드의 공식 명칭, 로고, 메인화면 구성 등을 그대로 사용하여 소비자 구매를 유도했다.

사기사이트 피해사례 중 연령대가 확인되는 45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 연령대가 10대 1건, 20대 31건, 30대 10건, 40대 3건으로, 20대 소비자 피해가 68.9%로 제일 높았다. 패션 브랜드의 주요 소비층이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을 활발히 이용하는 20대가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기사이트 광고를 접한 후 구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피해가 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방산업체 재취업 러시…2년째 취업제한 ‘0건’ [K-방산, 다음을 묻다②]
  • [체험기] "이게 진짜 폴더블폰 맞아?"… 끝판왕 ‘갤럭시 Z폴드7’
  • "엄청난 밸류" 美서 극찬…'면비디아' 제대로 터졌다
  • 거침없는 코스피에 '시총 3000조' 시대 연 국내 증시
  • 야구 1위·빵의 도시 '대전'…제주 제치고 국내 인기 여행지로 부상 [데이터클립]
  • 단독 "카드 가맹점 매출액 산정 시 세금 제외" 입법 추진⋯카드사, 사면초가
  • "항해는 계속된다"…에이티즈 '재계약'이 독보적인 이유 [엔터로그]
  • 폭염, 생존게임 수준…일사병·열사병 온열질환 구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7.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1,104,000
    • +1.82%
    • 이더리움
    • 3,778,000
    • +6%
    • 비트코인 캐시
    • 702,500
    • +1.89%
    • 리플
    • 3,313
    • +3.73%
    • 솔라나
    • 214,400
    • +2.93%
    • 에이다
    • 854
    • +4.91%
    • 트론
    • 395
    • +0.77%
    • 스텔라루멘
    • 398
    • +9.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630
    • +2.49%
    • 체인링크
    • 19,500
    • +2.15%
    • 샌드박스
    • 369
    • +5.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