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외국인 매수 7개월 만에 최대…증시는 0%대 보합

입력 2025-05-08 16: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FOMC 앞둔 뉴욕증시도 보합권
미국-중국 무역협상이 최대 관건

▲FOMC 회의 이후 일본 닛케이225지수가 8일 0.4% 상승에 그치는 등 아시아 증시가 보합권에 머물렀다.
▲FOMC 회의 이후 일본 닛케이225지수가 8일 0.4% 상승에 그치는 등 아시아 증시가 보합권에 머물렀다.

8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동결 속에서도 관망세를 이어갔다. 기준금리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에 더 큰 관심을 두는 셈이다. 주요 증시 등락 폭이 0%대에 머물렀다.

블룸버그통신은 “신흥시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현지 통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펀드가 동남아시아 주식에 다시 투자하고 있다”라며 “4월 28일~5월 2일 사이 외국인의 아시아 증시 순매수가 2억8000만 달러(약 3915억 원)로 작년 9월 이후 최대치”라고 보도했다.

이날 마켓워치에 따르면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날보다 148.97포인트(0.41%) 올라 3만6928.63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토픽스지수도 보합권에 머물렀다. 종가는 전날보다 2.56포인트(0.09%) 오르는 데 그쳐 2698.72에 거래를 마쳤다.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은 급락 출발 이후 강보합 권으로 전환했다. 종가(3853.71)는 전날보다 22.08포인트(0.58%) 상승 마감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33포인트(0.28%) 오르는 데 그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종가는 3352.00이었다. 대만 증시 자취안지수는 전일 대비 3.09포인트(0.02%) 내린 2만0543.40에 마감했다.

우리 시간 오후 4시 40분 기준,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78.00포인트(0.34%) 올라 2만2772.35에 거래 중이다. 이 밖에 인도 센섹스지수는 0.06% 상승 거래 중이고, 싱가포르 ST 종합지수는 0.50% 내린 채 보합권에서 거래 중이다.

간밤 뉴욕증시는 미연방공개준비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동결(연 4.25~4.5%)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소화하며 장중 변동성이 나타났으나 장 후반 오름폭을 키워 상승 마감했다.

이날 오전 아시아 증시도 반짝 상승 출발했다. 싱가포르의 메이뱅크증권의 훅 웡 ‘기관투자책임자’는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분위기는 다소 조심스럽지만 개선되고 있다”라고 내다봤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4월 28일~5월 2일 사이, 외국인의 아시아 증시 매수가 작년 9월 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율의 영향과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사흘째 상승 중인 코스피는 0.22%. 코스닥은 0.94% 상승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800,000
    • +0.04%
    • 이더리움
    • 4,031,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705,000
    • -1.05%
    • 리플
    • 3,831
    • +6.92%
    • 솔라나
    • 220,300
    • -1.12%
    • 에이다
    • 982
    • -0.3%
    • 트론
    • 413
    • +2.99%
    • 스텔라루멘
    • 539
    • +25.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540
    • -1.55%
    • 체인링크
    • 20,760
    • -1.19%
    • 샌드박스
    • 394
    • -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