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피알, 1분기 영업익 전년比 97%↑⋯2개 분기 연속 2000억 매출

입력 2025-05-08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매출 2660억 원⋯전년 동기보다 79% 증가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 (사진제공=에이피알)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 (사진제공=에이피알)

에이피알에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내며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이피알은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266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9%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7% 늘어난 546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에이피알은 사상 처음 2500억 원대 매출을 냈고, 지난해 4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2000억 원대 매출 행진에 성공했다. 영업이익률은 20.5%를 기록, 분기 영업이익도 처음 500억 원대를 넘어섰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통상 뷰티업계 내 성수기인 연말을 포함한 4분기에 가장 높은 실적을 냈는데, 이번 1분기는 작년 4분기 실적을 뛰어넘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사업부문별로는 화장품·뷰티 디바이스 등 주력 사업이 성장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화장품·뷰티 부문은 전 세계적인 K뷰티의 인기를 타고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한 165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뷰티 디바이스 부문은 909억 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36%의 성장률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인 ‘부스터 프로’를 비롯해 ‘울트라튠 40.68’, ‘하이포커스 샷’ 등이 꾸준히 관심을 모았다. 또한 ‘부스터 프로 쿠로미 에디션’과 ‘부스터 프로 미니 춘식이 에디션’ 등 유명 캐릭터와 협업해 소장가치를 높인 한정판 제품들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지역별로 보면, 국내 보다 해외 매출이 폭증했다. 에이피알의 1분기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6% 성장한 약 1900억 원에 육박, 지난해 상반기 해외 매출 실적을 금세 넘어섰다. 해외 매출 비중도 전체의 71%로 증가했다.

에이피알은 기존 해외 시장인 미국·일본에서는 판매 채널을 확대하는 한편 글로벌 전역을 무대로 고객 접점을 넓힐 계획이다. 또 트렌드를 반영한 화장품 신제품과 함께 신규 뷰티 디바이스, 헬스케어 영역 확장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에이피알 2025년 1분기 경영 실적 (사진제공=에이피알)
▲에이피알 2025년 1분기 경영 실적 (사진제공=에이피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여가 늘면 소비자 지갑 열린다’⋯오프라인 유통가, 현실화 때 ‘특수 기대’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종합]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상승…다우지수 0.2%↑
  • 시흥 기계 제조공장서 화재…안전재난문자 발송
  • '불꽃야구' 성남고 2차전, 문교원의 짜릿한 역전타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10: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660,000
    • +0.37%
    • 이더리움
    • 4,075,000
    • +0.64%
    • 비트코인 캐시
    • 683,000
    • -1.01%
    • 리플
    • 3,956
    • +1.88%
    • 솔라나
    • 219,800
    • -0.23%
    • 에이다
    • 991
    • -2.36%
    • 트론
    • 411
    • +0.49%
    • 스텔라루멘
    • 614
    • -10.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820
    • -0.25%
    • 체인링크
    • 21,260
    • -0.61%
    • 샌드박스
    • 412
    • -2.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