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선 후보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대선 체제에 돌입했다. 이 후보는 ‘국민통합’을 전면에 내세우며 이념과 계파를 넘어서는 ‘용광로 선대위’ 구성하고 중도와 보수층까지 아우르겠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통합 행보가 실제 외연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최근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며 이 후보의 대선 출정식을 마무리했다. 이 후보는 대선 후보로 확정된 직후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참배하고, “어떠한 정치적 갈등과 분열도 국민을 위해 해소해야 한다”며 통합 메시지를 강조했다. 강성 이미지에서 탈피하려는 행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 같은 기조는 선거대책위 인선에도 반영됐다. 이 후보는 보수 진영의 대표적 전략가인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총괄선대위원장으로 전격 영입해 정계 안팎의 주목을 받았다. 또 경북 안동에서 3선을 지낸 권오을 전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의원도 선대위에 합류시키며 보수·영남권 확장 전략을 동시에 꾀했다.
하지만 중도·보수층의 실제 표심을 얻는 데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특히 중도층은 정치적 신뢰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 후보의 과거 발언과 입장 번복 사례는 이와 배치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 뉴스
대표적 사례는 반도체 산업과 주 52시간제 관련 입장 번복이다. 이 후보는 주 52시간제의 탄력적 적용을 시사했으나, 노동계 반발 이후 곧바로 태도를 바꿨다. 정치권에선 이를 두고 “눈치 보기식 정치”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여기에 과거 “이승만 전 대통령은 친일 매국 세력의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은 독재자”라고 발언했던 전력도 보수층 확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사법 리스크 역시 부담 요인이다. 최근 대법원이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판결을 내리면서, 민주당은 이를 ‘사법 쿠데타’로 규정하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면 대응이 오히려 중도층의 피로감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 후보가 중도·보수 외연 확장에 성공하기 위해선 단순한 통합 이미지가 아닌, 실질적인 정책 변화와 메시지 조율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과거와는 다른 정치인으로서의 일관된 태도와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재명 후보가 말하는 통합이 단순한 선거용이 아닌 실질적인 변화로 읽혀야 중도층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사법리스크 속에서도 민생행보로 정면돌파하는 모습은 효과는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실제 이재명 대표는 사법리스크가 있지만 포천, 연천에 2일 강원도까지 민생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당 지도부의 전면적 대응과는 대조된 모습으로 통합 행보를 내세우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