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어진 의대생 복귀에 의학교육계 “정원 3058명 먼저 확정해야”

입력 2025-04-15 13: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대생 복귀 여부 상관없이 교육부 3058명 무르기 쉽지 않아”

(연합뉴스)
(연합뉴스)

정부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발표를 앞둔 가운데 의학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동결하는 것을 먼저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의대생의 수업 참여율과 상관없이 교육부가 ‘전원 복귀’ 기준으로 내세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인 3058명을 무르기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15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번 주까지 의대생 수업 참여율을 지켜본 뒤 이르면 주말 전 내년 의대 모집인원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의학교육계에서는 정부가 조속히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확정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백무준 순천향대 의대 학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3분의 1 정도 학생들이 수업에 들어 오고있다다”면서 “다음 주부터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유급 처분이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에서 정원 3058명 동결을 먼저 확정하면 학생들이 더 많이 돌아올 것”이라며 “내년에 3개(24·25·26학번) 학년을 교육하느니 그래도 이 정도 학생들을 데리고 공부하는 게 더 낫다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이번 주부터 대규모 의대생 유급 통보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집단 유급이 이뤄지면 24·25·26학번이 내년에 예과 1학년으로 함께 공부하는, 이른바 ‘의대 트리플링’이 현실화할 우려가 나오고 있다.

송창호 전북대 의대 교수는 “전북대 의대의 경우 LMS(학습관리시스템)를 통해 선배들 눈치를 보는 학생들의 경우엔 비대면 수업과 본과생들은 대변 수업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학생들에게 수업에 돌아와야 정원동결을 하겠다는 것은 ‘협박’이나 다름없다”고 했다.

앞서 8일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교협) 또한 정부와 정치권에 이번 주 중으로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해 발표해달라고 건의하는 공문을 보냈다. 정부가 정원을 확정지으면 학생들이 수업에 돌아올 것이란 판단이다.

반면 교육부는 여전히 수업 복귀 약속이 먼저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생 복귀 여부는 정상 수업이 가능한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의대생 복귀 여부와 상관없이 교육부가 수업 정상화를 전제로 내세운 증원 전 수준인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을 무르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 내다본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의대생 대량 유급 등이 현실화되고 정상적인 의학 교육에 차질이 불가피해지면서 사태 장기화에 정부와 의료계 모두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면서 “원만하고 조속한 의대 정원 확정이 갈등 상황의 전환점을 맞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세대 의과대학은 이날 중 본과 1~3학년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고려대 의대는 유급 예정 통보를 이미 마친 상태다. 그 외 전북대와 전남대, 아주대, 인하대 등도 이번 주 중 수업 참석일수 미달자에 대한 유급 처분 절차를 진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수도권 공급,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이 답…수도권 추가 택지 발굴 가능성도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중동 화약고 폭발 ‘초읽기’…美 직접 개입 검토·후티 참전 선언
  • 李 대통령, 6개월 만에 정상외교 본궤도에..."실용외교 첫발"
  • 매크로·가짜 티켓…진화하는 ‘암표 범죄’에 법도 속수무책
  • 시총 10배 수주잔고 쌓은 세아메카닉스...이성욱 "방산 인수도 고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14: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12,000
    • -0.84%
    • 이더리움
    • 3,515,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656,500
    • +0.31%
    • 리플
    • 3,007
    • -2.56%
    • 솔라나
    • 205,800
    • -2.23%
    • 에이다
    • 858
    • -1.61%
    • 트론
    • 378
    • -0.53%
    • 스텔라루멘
    • 352
    • -2.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80
    • -2.2%
    • 체인링크
    • 18,240
    • -2.3%
    • 샌드박스
    • 361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