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영향 불가피한 이유들
베트남·인도 생산 공장 둔 고객사들
비용 부담, 부품사에 전가될 우려

미국 정부가 한국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산업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등 일부 품목에는 상호관세를 적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관련 업계는 간접적인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백악관은 전날(현지시간) 한국에 26%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관세 부과를 예고했던 자동차·철강·알루미늄·반도체 등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러나 반도체 업계는 안심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글로벌 공급망과 긴밀히 연결된 반도체 산업 특성상, 직접적인 관세가 없더라도 연쇄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현수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정책팀장은 “반도체가 이번 상호관세에서는 제외됐지만, 향후 품목별 관세 부과가 이어질 수 있어 안심하기 이르다”며 “현재도 간접 영향은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를 포함한 일부 첨단 산업에 대해 고율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일단 제외되긴 했지만, 조만간 다시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판단이다.
실제로 반도체는 완성품보다 부품이나 장비 형태로 해외 공장을 거쳐 수출되는 경우가 많아, 유통망을 따라간 간접 타격이 현실화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이날 한국 외에도 베트남(46%), 중국(34%), 대만(32%), 인도(27%) 등에 상호관세율을 발표했다. 이들 지역은 글로벌 전자·정보기술(IT) 기업들이 제조 공장을 두고 있는 주요 거점이다.
TSMC, 애플, 델, 폭스콘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이들 국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높은 관세는 곧 생산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부품을 공급하는 한국 반도체 기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김 팀장은 “베트남이나 대만에 대한 고율 관세는 애플, 폭스콘 등 글로벌 업체들의 원가 부담으로 직결된다”며 “결국 이 부담은 협력사인 국내 반도체 기업들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