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헌재, 할 일 해야…‘尹 즉각 파면’ 국민 염원 이뤄지길”

입력 2025-03-28 13: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헌재, 더 이상 방치한다면 존재 이유 대한 비판 직면할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13일째 단식 중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농성장을 찾아 대화하고 있다. 2025.3.21.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13일째 단식 중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농성장을 찾아 대화하고 있다. 2025.3.21. (연합뉴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28일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이 더 이상 파국에 빠지지 않도록 신속하게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를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14일간 단식 농성을 이어가다 건강 악화로 입원했던 김 전 지사는 이날 퇴원 후 다시 광화문을 찾은 뒤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김 전 지사는 “광화문 광장을 다시 찾아야 하는 현재 상황이 참담하다. 헌재에서 판결을 했어도 진작 했어야 되는 상황인데, 아직까지도 윤 대통령에 대한 파면이 언제 이뤄질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그로 인해 국민 불안은 높아져 가고 밤에 잠을 못 자는 불면은 깊어져 가는 이 상황이 대한민국이 처한 위기의 현실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간다면 대한민국이 민주주의의 위기만이 아니라 생존의 위기에 빠질 수 있다”며 “헌재가 이런 위기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한다면 헌재가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니냐는 국민과 역사의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하루속히 ‘윤석열 즉각 파면’이라고 하는 국민의 염원이 헌재에 의해 이뤄지길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헌재가 더 이상 눈치를 보면 안 된다. 헌재가 해야 할 일을 미루는 것은 헌재의 직무유기”라며 “(선고가) 늦어지고 있는 건 대한민국의 갈등과 위기 상황을 빠른 시일 내에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고민이 큰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지만, 더 이상 길어지는 건 오히려 대한민국에 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 전 지사는 대형 산불 사태와 관련해서는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께 진심으로 명복을 빌고 부상자분들이 속히 쾌유하기를 바란다”며 “산불이 조속히 진화돼서 더 이상의 인명 피해가 없길 바란다. 저도 회복되는 대로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PASS 앱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여전히 '먹통'…"서비스 재개 언제?"
  •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막 오른 위성통신 경쟁…스타링크·원웹 韓 진출 임박, 아마존은 아직
  •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육박…2021년 이후 최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06,000
    • -0.39%
    • 이더리움
    • 2,619,000
    • +1.08%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4.73%
    • 리플
    • 3,149
    • -0.35%
    • 솔라나
    • 212,300
    • -2.75%
    • 에이다
    • 1,017
    • -2.12%
    • 이오스
    • 991
    • -1.1%
    • 트론
    • 365
    • +3.69%
    • 스텔라루멘
    • 42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0.71%
    • 체인링크
    • 21,250
    • -2.3%
    • 샌드박스
    • 443
    • -2.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