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제적 ‘코앞’에 복귀 호소하는 대학들

입력 2025-03-26 14: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협, 26일 상임이사회서 제적 시한 연기 요청 논의할 듯
27학년부터 의대정원 심의 '추계위' 설치법 법사위 통과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달 내에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오지 않으면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의대를 둔 대학들이 학생들의 복귀를 호소하고 나섰다.

26일 대학가에 따르면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휴학중인 의대생들에게 서한을 보내고 복귀를 촉구하면서,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학칙을 엄격히 적용해 유급·제적 등의 처분을 하겠다는 방침도 재차 언급했다.

양 총장은 서한에서 "우리 학생들이 의료인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 편달을 부탁드린다"며 학부모들의 협조도 요청했다. 양 총장은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이자, 4년제 대학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이기도 하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복귀 마지노선’을 하루 앞둔 26일 저녁 늦게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의대 태스크포스(TF)는 앞서 몇 차례에 걸쳐 학년별 간담회를 열어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논의해왔다. 현재 상당수 학생은 등록하지 않은 채 휴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와 교육부는 이들의 복귀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지난 25일 의대생과 학부모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교육의 질과 학사관리 원칙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27일”이라며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강조해왔다.

연세의대와 고려의대는 미복귀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발송했으며 다른 의대 또한 같은 조치를 고려 중이다.

이같이 전국 의대에서 ‘무더기 제적’이 현실화되는 분위기 속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저녁 정기이사회를 열고 정부와 대학에 제적 시한 연기를 요청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의사를 비롯해 필요 의료인력 규모를 논의할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 설치 법안이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법안이 통과될 경우 추계위 심의 결과는 2027학년도 의대 정원부터 반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393,000
    • -0.48%
    • 이더리움
    • 2,525,000
    • -2.7%
    • 비트코인 캐시
    • 498,400
    • -3.22%
    • 리플
    • 3,110
    • -4.1%
    • 솔라나
    • 213,500
    • -1.84%
    • 에이다
    • 992
    • -1.49%
    • 이오스
    • 928
    • -3.83%
    • 트론
    • 353
    • +0.28%
    • 스텔라루멘
    • 383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240
    • -2.37%
    • 체인링크
    • 20,800
    • -3.35%
    • 샌드박스
    • 419
    • -2.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