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고위 관료들, 민간 채팅으로 군사 기밀 논의

입력 2025-03-25 15: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후티 반군 공습 계획 관련 정보 주고받아
실수로 기자 초대하기도
“중대한 위법행위” 지적…관련자 퇴출 관측도

▲20일(현지시간) 예멘 반군 후티가 장악한 수도 사나에서 미군 공습 피해 지역에 접근을 제한하는 노란 줄이 설치돼 있다. 사나/AFP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예멘 반군 후티가 장악한 수도 사나에서 미군 공습 피해 지역에 접근을 제한하는 노란 줄이 설치돼 있다. 사나/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관리들이 민간 메시지 서비스 앱 채팅방에서 친이란 무장조직인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한 극비 공습 계획을 논의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을 벌였다. 심지어 여기에 기자 1명까지 실수로 초대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잡지 애틀랜틱에 따르면 당국자들이 민간 암호화 채팅앱 ‘시그널’에서 후티 반군 공격에 사용할 무기, 표적, 공습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주고받았다. 이 과정에서 애틀랜틱 기자까지 채팅 그룹에 포함돼 있어 이 잡지가 해당 내용을 공개했다.

시그널은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암호화 메시지 앱으로 은닉성이 높아 정부 관계자, 로비스트, 언론인들 사이에서 이용이 확산하고 있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메시지가 지워지는 설정도 가능하다.

다만 군사작전 계획 협의에 민간 앱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국가안보상 위험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군사 계획은 미국에서 가장 엄중하게 은닉되는 기밀 중 하나로 유출되면 미군 요원의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안보 전문가와 전직 당국자들은 임박한 군사행동에 관한 기밀 협의에 시그널을 사용하는 것은 기밀 방위 정보 취급을 규정한 안보절차에 대한 중대한 위법행위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해당 기사에 대한 기자들의 물음에 “아무것도 모른다”며 “나는 애틀랜틱의 열렬한 구독자가 아니다. 나에겐 그냥 곧 폐간할 잡지일 뿐”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이 관련 인사들을 퇴출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했다. 미국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백악관 당국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를 지켜보면서 하루 이틀 내에 최종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81,000
    • +1.1%
    • 이더리움
    • 2,629,000
    • +2.74%
    • 비트코인 캐시
    • 534,000
    • +6.06%
    • 리플
    • 3,310
    • +0.7%
    • 솔라나
    • 215,200
    • +1.46%
    • 에이다
    • 1,025
    • +1.69%
    • 이오스
    • 1,001
    • +0.4%
    • 트론
    • 355
    • -0.56%
    • 스텔라루멘
    • 404
    • -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00
    • -1.4%
    • 체인링크
    • 21,510
    • +0.94%
    • 샌드박스
    • 436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