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양대 지수 美 뉴욕 강세 따라 상승 흐름…외인·기관 순매수

입력 2025-03-18 0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양대 지수가 상승 출발했다.

18일 코스피 지수는 오전 9시 18분 기준 전일보다 19.14p(0.73%) 오른 2629.83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1959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699억 원, 366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오전 9시 13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2.90원(0.20%) 내린 1442.20원에 거래 중이다.

뉴욕증시는 17일(현지시각)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3.44포인트(0.85%) 오른 4만1841.63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36.18포인트(0.64%) 뛴 5675.1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54.58포인트(0.31%) 상승한 1만7808.66에 거래를 마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늘 국내 증시는 미국 소비 경기 불안 완화와 트럼프 관세 경계감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한 가운데, 전일 반도체, 바이오를 중심으로 장중 급등에 따른 일부 차익실현 물량 출회 등으로 박스권 흐름을 예상한다"고 짚었다.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에서는 기아(-3.74%)를 제외하고 일제히 오름세다. 삼성전자(1.91%), LG에너지솔루션(1.54%), 삼성전자우(2.42%), 한화에어로스페이스(2.66%) 등은 큰 폭 오르고 있다.

이밖에 시총 상위 종목에서는 한화시스템(8.37%), 한화(7.04%), 한화오션(6.03%), 한미반도체(5.28%), 에코프로머티(2.97%), LS(2.96%) 등은 강세, 기아(-3/74%), 현대로템(-1.74%), LIG넥스원(-1.54%), 크래프톤(-1.40%), CJ(-1.11%) 등은 약세다.

코스닥 지수는 2.76p(0.37%) 오른 746.27에 거래 중이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39억 원, 43억 원을 순매도 중인 반면, 개인 홀로 550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에서는 티앤엘(8.02%), 컴투스(4.98%), 보로노이(4.50%), 카페24(4.04%) 등이 강세를, JYP Ent.(-6.03%), 휴온스글로벌(-4.00%), 하이젠알앤엠(-2.77%), 올릭스(-2.52%), 디어유(-2.41%) 등은 약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405,000
    • +3.05%
    • 이더리움
    • 2,568,000
    • +5.72%
    • 비트코인 캐시
    • 518,500
    • +1.77%
    • 리플
    • 3,199
    • +3.8%
    • 솔라나
    • 217,300
    • +4.87%
    • 에이다
    • 1,007
    • +7.01%
    • 이오스
    • 964
    • +2.88%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85
    • +3.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50
    • +2.14%
    • 체인링크
    • 21,300
    • +7.85%
    • 샌드박스
    • 427
    • +4.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