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 “민주당, 李 일극체제만 극복하면 대선승리하나”

입력 2025-01-30 12: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달라져야 할 것 많아…승리 너무 쉽게 낙관”

▲박용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시스)
▲박용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시스)

비명(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박용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한 명 탓하는 것으로 쌓여 있는 문제에 눈감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당내 쇄신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 전 의원은 30일 페이스북에서 “지금 민주당에 낡은 것이 너무 많고, 달라져야 할 것들이 너무 많은데 우리는 너무 쉽게 승리를 낙관한다”며 “윤석열이 탄핵되면 다음은 무조건 민주당이 되는 걸까. 이재명 일극체제만 극복되면 대선승리는 따 놓은 당상일까. 자꾸 질문하고 자꾸 반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나친 PC주의, 몸에 밴 선민의식, 실력은 보여주지 못하면서 느껴지는 잘난 척. 이런 모습이 달라지지 않아도 윤석열이 탄핵되면 다음 정권은 무조건 민주당 차지가 될까”라고 덧붙였다.

박 전 의원은 특히 민주당이 이중적인 태도, ‘내로남불’을 돌아볼 것을 촉구했다. 박 전 의원은 “사회불평등 심화를 개탄하면서 부동산으로 부자되는 민주당 정치인들과 아파트 값 폭등으로 고통받는 서민들의 모습이 겹쳐지 상황”이라며 “나에게는 관대하고 남에게는 막 대하는 민주당의 도덕적 내로남불을 그대로 두면서 이재명 1극 체제만 극복되면 청년 세대들은 우리를 지지해줄까”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혁신을 이야기하면서 '타다 금지법'을 만들고, 국가전략산업 육성을 이야기하면서 지원에 소극적인 민주당, 청년을 이야기하면서 연금·노동개혁 등 미래 전략에 손 놓은 민주당에 나를 비롯한 정치인들 책임은 없나”라고 꼬집었다.

박 전 의원의 지적은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사법 리스크와 지지율 하락 등을 맞닥뜨리자 비명계 인사들이 이재명 대표 중심의 일극체제 극복을 촉구하고 나선 데 대해 당내 성찰과 정책적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

야권 잠룡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박 전 의원은 서울 강북을 지역구에서 제20대·제2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지난해 4.10 총선 공천에서 탈락, 이른바 ‘비명횡사’의 중심에 선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토허제' 강남 3구·용산구 집값 묶였지만 목동·여의도는 '들썩' [토허제 재지정 한달①]
  • '관세전쟁 선방' 삼성ㆍSK, 2분기가 걱정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알테쉬, 초저가 무기로 공급…유통업계 타격 불가피[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中)]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빈자의 교황’ 프란치스코, 88세 일기로 선종…포용·섬김의 리더십으로 사랑받아
  • “지지 후보 없다” 결국 이재명 선택?…AI “10중 6명 흡수”
  • C1의 '불꽃야구' 오늘(22일) 고척돔 첫 직관 티켓팅…예매처ㆍ예매 시간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11: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649,000
    • +1.94%
    • 이더리움
    • 2,293,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497,600
    • +1.84%
    • 리플
    • 3,023
    • -0.62%
    • 솔라나
    • 200,300
    • -1.38%
    • 에이다
    • 907
    • -1.31%
    • 이오스
    • 919
    • -2.75%
    • 트론
    • 355
    • +0.28%
    • 스텔라루멘
    • 363
    • +0.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10
    • +0.36%
    • 체인링크
    • 19,120
    • -2.25%
    • 샌드박스
    • 395
    • +0.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