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일반정부 부채 1217조…GDP 대비 50% 돌파

입력 2024-12-1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3회계연도 일반정부 및 공공부문 부채 집계 결과 발표
일반정부 부채 1200조 원 넘어…GDP 대비 부채 비율 50.7%

지난해 일반정부 부채(D2)가 1200조 원을 돌파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해당 비율이 50%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일반정부에다 비금융공기업의 부채를 합한 공공부문 부채(D3)는 1600조 원을 돌파했다.

기획재정부는 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회계연도 일반정부 및 공공부문 부채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부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중앙 및 지방정부의 부채인 국가채무(D1)와 일반정부 부채(D2), 공공부문 부채(D3)를 2011회계연도부터 산출해오고 있다. D2는 D1에 비영리공공기관을, D3는 D2에 비금융공기업까지 포괄해 산출하는 부채 지표다.

지난해 일반정부 부채는 1217조3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0조1000억 원 늘었다. 국고채 58조6000억 원 늘어나는 등 중앙정부의 회계·기금에서 부채가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은 50.7%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올해 6월 공표한 신계열 GDP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이 50%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일반정부 부채비율은 2019년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지난해에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집계하는 비기축통화국의 부채 비율 평균치(53.7%)를 밑돌았다.

부문별로 보면 중앙정부 회계·기금의 부채는 1128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3조7000억 원 증가했다. 중앙정부 비영리공공기관 채무는 59조 원으로 전년 대비 4조 원 늘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 농지은행사업 관련 차입금 및 농진청 개발사업 등 관련 선수금 증가 등으로 1조4000억 원이 늘었다. 가계·기업 지원 및 공공투자 확대로 인한 공사채 발행, 차입금 증가 등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 부채도 전년 대비 1조9000억 원 증가했다.

공공부문 부채는 1673조3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84조6000억 원 늘었다. GDP 대비로는 69.7%로 집계됐다. 공공부문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등락을 거듭하다 2019년(55.5%) 이후 상승세다.

부문별로 보면 비금융공기업의 부채가 545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조 원 늘었다. 특히 한국전력공사와 발전 자회사에서 전력구입대금 및 설비투자를 위한 차입금, 공사채 증가 등으로 부채가 전년 대비 12조9000억 원 증가했다. 정책 사업 확대에 따른 차입금 및 공사채 증가 등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채도 전년 대비 6조8000억 원 늘었다. 한국도로공사는 건설 재원 조달을 위한 차입금·공사채 증가 등으로 부채가 전년 대비 2조4000억 원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모에 휘둘리지 않으려면…코인 커뮤니티를 완벽히 활용하는 법 [코인가이드]
  • 기술 하나로 엔비디아 뚫었다… '330억' 김동선 야심 통할까
  • "오만한 태도" 서울의대 교수 지적에…의료계 "미친 것 같다"
  • 崔대행, 방통위법 거부권… "'권력분립 원칙' 위헌 소지"
  • "전지현, 그녀가 하면 뜬다"…CF퀸이 사는 '아크로 서울포레스트'는 [왁자집껄]
  • “5만 원 저축하면 2배 더 준다”…취약계층 아동 자립 돕는 ‘디딤씨앗통장’[경제한줌]
  • 한 편당 2분…드라마도 '숏폼'으로 본다 [데이터클립]
  • 3월의 대설특보…올해 ‘꽃샘추위’ 원인 제공자는?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3.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690,000
    • -0.47%
    • 이더리움
    • 2,787,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91,900
    • +0.8%
    • 리플
    • 3,349
    • -2.3%
    • 솔라나
    • 183,100
    • -3.17%
    • 에이다
    • 1,035
    • -2.08%
    • 이오스
    • 722
    • +1.98%
    • 트론
    • 326
    • +4.49%
    • 스텔라루멘
    • 396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350
    • -0.04%
    • 체인링크
    • 20,750
    • +3.03%
    • 샌드박스
    • 412
    • -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